"과학·사회과목 수 균형 맞춰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6면

최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마련한 '우수 이공계 인력 확보 방안'도 일선 고등학교 과학교육이 왜곡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인식해 만들어진 것이다. 인문계는 과학을 안 배우려고 하고, 자연계는 인문계열 과목에 소홀한 문제를 해결해보자는 취지다.

지난달 말 서울 서초구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자문회의의 '우수 이공계 인력 확보 방안'에 참여한 이병기 한국공학교육학회장은 "현재의 공통교과목에서 과학 및 사회 관련 과목이 균형적으로 이수되도록 제7차 교육과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이번에 마련된 세부안에 대해서는 반대가 만만치 않아 앞으로 얼마나 정책에 반영될지는 미지수다.

현재 국민 공통 기본교육 과정에서 과학 관련 교과 6단위에 비해 사회 관련 교과는 10단위다. 이번 '우수 이공계 인력 확보 방안'은 과학 과목의 이수 단위를 늘려서 과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하자는 취지다.

이 방안에 따르면 인문계열 학생들도 심화선택 과목 중 반드시 과학(물리I.화학I.생물I.지구과학I)을 한 과목 이상 선택해 이수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자연계열 학생의 사회 과목 이수를 권장하는 안이 포함돼 있다. 이공계의 인문계 이해를 넓히자는 것이다. 심화선택 과목 중 기초 과목인 물리I.화학I.생물I.지구과학I 대신 2개 정도의 과목을 인문계열 과목으로 고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이런 방안을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반영하면 일선 고교에서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반대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전교조 참교육연구소 하병수 사무국장은 "현재 주당 36시간으로 세계 최고의 과도한 학습량 속에 살아가는 국내 학생들에게 사회과목보다 부족하니, 과학단위를 더 늘리라는 요구는 무리"라고 말했다. 하지만 "과학 및 사회 관련 과목의 균형적 이수는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이루기 위해 좀 더 정교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데는 의견을 같이 했다.

서울과학고 이경운 교사는 "이공계 출신도 논리적인 글을 쓰고, 토론하며 사회분석이나 경영을 잘 해야 한다"며 "현재의 양자택일적인 교육시스템으론 불가능하니 어떤 식으로든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