崔대표 위기 수습 구상에 소장파 "먼저 기득권 포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나라당이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수습책을 놓고도 뒤뚱거리고 있다.

최병렬 대표는 지난 14일 경남 청년위원 발대식에 참석해 "국민 지지를 받으려면 뉴 한나라당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며 "부정한 돈을 쓴 것을 다 갚아내고, 얼굴을 새롭게 바꾸고, 나라를 어떻게 끌고 갈지 보여줄 때 당과 나라를 살려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崔대표는 혁신적인 공천 개혁.정강정책 정비 등을 언급했다.

측근들은 崔대표가 당 위기 해소책으로 선대위 구성을 통한 제2창당 프로그램 가동 등에 주도적으로 나설 뜻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홍준표 전략기획위원장은 "총선을 崔대표 체제로 치른다는 건 지난해 전당대회에서 정해졌다"며 "선거를 두달 앞두고 간판을 바꾸는 건 있을 수 없다"고 해 정면돌파론을 뒷받침했다.

崔대표는 17일 관훈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수습안을 밝힐 예정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 수습안이 위기를 진정시킬 수 있느냐다. 주류 측 수습안의 얼개가 崔대표 중심의 제2창당 작업에 맞춰져 있다는 소식을 들은 소장파 의원 등은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남경필 의원 등은 "당 지지율 하락으로 대표되는 위기의 본질은 지도부의 대국민 신뢰 저하"라며 "과감한 기득권 포기가 없는 수습안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김무성 상임운영위원도 15일 기자간담회에서 "당 지지율이 곤두박질치는 데 대해 이들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위기 수습책을 놓고 '崔대표 중심론'과 '대표 2선 후퇴론'으로 갈려 충돌하는 형국이다. 이런 가운데 공천에 불만을 품은 수도권과 영남권 일부 의원의 불만은 점점 위험수위에 육박하고 있다. 崔대표는 이날도 당 3역을 비롯한 당 안팎 인사들을 만나 여론 수렴을 계속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