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在鳳의원 발언파문 民自처리 고심-탈당 권유방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민자당은 노재봉(盧在鳳.전국구)의원의 국회본회의 발언(1일)이 당과 정부의 정책방향을 전면 부정한 것으로 보고 있으나 이를 문제삼을 경우 당내 일부세력의 반발등을 우려해 처리에 고심하고 있다.
민자당은 2일 당무회의를 열고 盧의원 문제를 논의,우선 김종필(金鍾泌)대표가 이런 사태를 낳은데 대해 당총재인 김영삼(金泳三)대통령에게 사과표시를 한뒤 金대통령의 결정에 따르기로 했다. 〈관계기사 3面〉 당내의 대통령 측근 출신인 민주계는 어떤 형태로든 盧의원의 책임을 물어야한다는 강경입장을 정리했으나징계할 경우 헌법상 면책특권논쟁을 낳을 수 있고 민심 수습이 절실한 현시점에서 여권(與圈)이 혼미하다는 인상을 줄 우려가 있다고 판단,자진탈당을 권유키로 내부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당무회의에서 김종하(金鍾河.창원갑)의원등 舊여권출신들은『이를 확대해 통치권차원으로 대응하면 국론분열 양상으로 비쳐질 수 있다』고 징계에 반대하고 있으며 민정계 다수의원들이 여기에 동조하고 있다.
金대표는『盧의원의 발언이 통치권에 도전한듯한 인상을 준것은 대단히 유감』이라면서『이를 만류하지 못한데 대표위원으로서 책임이 있으며 金대통령에게 사과를 올리겠다』고 했다.
〈李年弘.金基奉기자〉 대통령 측근인 김봉조(金奉祚.장승포-거제)의원은 회의에 앞서『탈냉전시대에 극우적 발언으로 우리당에 혼재할 수 있는 논리가 아니다』고 규정하고『盧의원 스스로 자기정리가 필요하다』고 말해 자진탈당을 요구했다.
민자당은 일단 이날 당무회의를 끝으로 당차원에서는 盧의원 문제를 더이상 논의하지 않기로 했다.
민자당은 對정부 질문서의 사전제출이란 당의 절차를 무시하고 盧의원이 본회의 발언직전에 질문서를 당지도부에 내놓은 점을 중시,당명의 의도적인 불복종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