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방 문화재 복원 불붙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중국이 내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지방 단장에 나섰다. 간판 격인 베이징에만 신경을 써서는 제대로 된 '중국 알리기'를 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지방의 문화재를 복원하면서 문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자는 목적도 있다. 그러나 지방정부는 이를 이용해 한몫 챙길 태세다. 중앙정부의 지원을 놓고 지역 간 쟁탈전이 치열하다.

◆대대적 지원=건설부 도시농촌기획국의 쑨안쥔(孫安軍) 국장은 20일 "개발 과정에서 파괴된 지방의 문화유산을 복원하기 위해 3년 내에 10억 위안(약 1300억원)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가 재원이 필요할 경우 문화재보호기금을 사용하겠다는 뜻도 표명했다.

◆지역 간 경쟁 뜨겁다=지방 정부 간에는 벌써 '원조 쟁탈전'이 한창이다. 문화유적 보호를 위해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는다면 문화도시라는 명예는 물론이고 관광수입 증가 등 경제적 실익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정부 관리들로선 스스로의 정치적 업적을 높일 수 있는 기회도 된다. 1석3조의 효과인 셈이다. 현장을 보자.

# 현장 1

허베이(河北)성 진저우(晋州)시는 최근 706만㎡ 크기의 웨이정(魏徵)공원을 조성했다. 공원 앞에는 '진저우 시민의 선조인 대당(大唐) 정관(貞觀: 당 태종의 연호)의 명 재상 위정을 기념해 지은 것'이라는 비석이 세워졌다.

# 현장 2

지난 4월 3일 산시(山西)성 린펀(臨汾)시는 요(堯)임금 능에 대한 '300년 만의 최대 보수공사'를 시작했다. 1기 공사비로만 1000만 위안(약 13억원)을 책정했다. 이에 앞서 린펀시 당위원회는 요임금 문화연구회를 발족시켰다.

# 현장 3

산둥(山東)성 양구(陽谷)현과 린칭(臨淸)현은 지난해 금병매(金甁梅) 카드를 꺼내 들었다. 우선 양구현은 금병매 문화구를 설치했다. 린칭현은 베이징대 교수를 초청해 '금병매 휴식문화 관광체험을 특색으로 하는 관광도시 양구'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이런 현상에 대해 한 신문은 "문화가 지역 간부들의 출세 수단으로 전락했다"며 "정부는 철저한 고증을 통해 정확한 문화유산지를 가리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베이징=진세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