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성장 동력 포럼' 최기련 회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7면

"차세대 성장 동력은 기술 위주보다는 제품을 개발하는 쪽으로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그래야 이른 시일 내에 성과가 나와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여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할 것입니다."

과기부 '차세대 성장 동력 포럼' 최기련(57.아주대 교수)회장은 "차세대 성장동력이 두루뭉술하기보다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정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포럼은 정부의 차세대 성장 동력 프로젝트와 관련, 정책 자문과 건의를 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주축이 돼 지난해 말 결성됐다. 최 회장은 지난 2년간 무보수로 고등기술연구원장을 맡아 흑자 궤도에 올려 놓기도 했다.

-차세대 성장 동력을 제품 위주로 개발하면 너무 단품 위주의 프로젝트가 되는 것 아니냐.

"지금까지의 대형 국가 개발 사업은 기술목록을 작성해 시작했다. 그러다 보니 제품 개발이 잘 이뤄지지 않고 산업에 미치는 효과도 상대적으로 적었다.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에는 제품목록을 작성한 뒤 필요한 기술과 인프라를 학계와 연구계에서 지원하고,거기에 맞게 시간표를 짜서 진행해야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개발 조직도 바뀌어야 하지 않나.

"개발할 품목이 나오면 그 책임자를 민간에서 선발해야 한다. 그런 뒤 그 책임자에 대한 인사상 안정성을 정부에서 보호해줘야 한다. 이를테면 프로젝트 기간을 마칠 수 있도록 공적인 위상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정 기업을 위해서 일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품목을 고르는 것도 문제 아닌가.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에 얼마나 기여할 것인가''민간이 할 수 없는 것이냐'로 평가해 선정하면 된다. 민간이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정부 연구비를 투입할 필요가 없이 민간에 맡기면 된다."

-기초과학 투자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의 연구개발비 중 기초과학 투자 비율을 현재 18%에서 25%로 확대해야 한다. 기초과학 과제는 중간 평가도 하지 말고 지원해야 한다. 미래 성장엔진은 장기적으로 기초과학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고등기술연구원을 흑자로 돌린 비결은.

"연구개발도 돈만 쓰는 것이 아니라 벌 수 있다는 쪽으로 생각을 바꿨기 때문이다."

박방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