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10명중 2명 PC소유-한국정보문화센터 정보화실태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우리나라 국민 10명중 2명이 『PC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고 그중 대부분이 91년 이후 PC를 구입,90년대 들어 컴퓨터의 생활화가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10명중 6명 이상이 게임용 소프트웨어와 워드프로세서 를 가지고 있고 가정에서의 하루평균 PC이용시간은 3시간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이는 한국정보문화센터가 최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대도시.중소도시 및 군 단위지역 거주자 1천5백명을 대상으로한「정보화실태조사」에서 밝혀졌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거의 대부분(95%)이「21세기는 정보화사회」라고 진단하고 대부분의 응답자가▲미래사회에서는 경제와 기술 수준이 국력을 결정하고(89%)▲컴퓨터를 모르면 사회생활이 어려워지며(82%)▲자원이나 상품 보다는 정보와 지식이 더 중요해진다(80%)고 답변했다.
10명중 8명이 정보화사회가 무엇인지 안다고 응답,정보화사회에 대한 인식이 넓게 확산되고 있는 것을 보여 주었으나 그중 3명이『말로만 들어 본 정도』라고 밝혀 직접적인 경험보다는 피상적인 인식에 불과함을 드러냈다.이에따라 응답자 10명중 6명이 국가정보화의 근간인 초고속정보통신망과 무궁화위성에 대해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의 21%가 P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중 93년 이후 PC를 구입한 사람이 34%에 달했다.
PC구입의 적정가격으로는 응답자의 35%가 1백만~1백50만원대라고 답변했고 그 다음이 1백50만~2백만원대(21%)로 나타났다.
보유.활용하는 소프트웨어로는 게임용 소프트웨어와 워드프로세서가 각각 69%와 62%에 달했고 다음이 교육용프로그램(44%)이었다.
응답자 10명중 4명이 PC를 주로 문서작성용으로 사용하고 있고 오락용과 교육용으로 사용하는 사람도 각각 3명과 2명으로나타나 PC의 고성능화에도 불구하고 PC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하루 평균 PC 이용시간은 2백6분으로 가정(67분)보다는 직장이나 학교(1백40분)에서 사용하는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나타났다.
응답자 10명중 4명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로「교육.진학.
취업정보」를 꼽았으며 「물가.쇼핑.상품정보」(26%),「문화생활정보」(23%),「가정경제정보」(22%)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건강정보의 경우 이용료를 내더라도 사용하겠다는 사람이 50%나 됐다.
또 가장 구하기 힘든 정보로는 10명중 5명이 행정민원및 법률정보를 비롯한 전문지식정보를 꼽았다.
10명중 4명은 홈뱅킹.종합유선방송.전자우편.원격검침서비스등정보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했다.
10명중 8명이 각종 정보를 신문과 방송을 통해 취득한다고 응답했고 10명중 2명만이『콤팩트디스크와 사무자동화(OA)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했고 멀티미디어에 대해서는 단지 1명만이 그 내용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수신안테나를 설치한 가정은 5%로 팩시밀리(3.7%)보다더 많이 보급돼 있으며 10명중 7명이 정보를 얻기 위해 전화를 이용했으며 정보중에는 전화번호 문의가 68%로 가장 많았다. 또 10명중 5명이 전화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나 전화폭력의 심각성이 의외로 높음이 나타났다.
전화폭력 경험자중 6%가 전화번호를 바꾸거나 경찰에 신고했으며 욕설로 대응하는등 자체적으로 해결한 경우가 11.5%나 됐다. 정보화사회를 맞아 무선호출기와 전화자동응답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50%나 됐고 이동전화서비스도 10명중3명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 1년동안 한번도 편지나 엽서를 이용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이 50%나 됐다.
우리나라 사람은 직장이나 가정에서 하루 평균 거는 전화 6.
3회와 받는전화 8.9회를 합해 모두 15회 정도의 전화통화를하고 있고 시외전화통화의 경우 한달 평균 10번 정도인 것으로나타났다.전화가입자의 한달 평균 전화요금은 2 만9천1백원으로밝혀졌다.
88년 이후 4회째(2년마다 실시)인 이번 전국 정보화실태조사는 1천5백명의 응답자중 여자가 7백41명(49%),40대 이상이 4백49명(30%),고졸 이하가 1천1백50명(77%)이었다. 〈李元浩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