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바루기] 한글날의 유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처음으로 한글날을 기념한 것은 일제시대인 1926년이다. 한글이 반포(1446년)된 지 8회갑(480돌)이 되는 1926년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와 신민회가 공동으로 식도원(食道園)이라는 음식점에 모여 기념식을 거행한 것이 최초다.

이때 기념식을 치른 날짜는 11월 4일이었다. 음력 9월에 ‘훈민정음’을 책자로 완성했다는 실록의 기록에 근거해 음력 9월 29일을 한글 반포 일로 보고 이날 기념식을 거행했다. 기념식 명칭은 ‘가갸날’로 정했다. 당시 ‘가갸거겨’ 하면서 한글을 익혔기 때문이다. 몇 해 뒤부터는 ‘한글날’이란 이름이 사용됐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로는 일제의 탄압으로 기념식을 거행하기 어려웠다. 1942년에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한글학자들이 투옥됨에 따라 더욱 기념식을 치를 수 없었다. 1945년 나라를 되찾음으로써 다시 기념식을 거행하게 됐다.

1945년부터는 지금처럼 10월 9일에 한글을 기념하게 된다. 1940년 7월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의 기록을 근거로 날짜를 다시 계산했기 때문이다. 이 책에 실린 정인지의 서문에 ‘9월 상한(上澣)’이라는 기록이 있으므로 9월 상순의 마지막 날인 9월 10일을 양력으로 계산해 나온 것이 10월 9일이다.

1970년부터 한글날을 국경일로 지정해 행사를 치러 왔으나 90년에는 국경일이 아닌 단순 기념일로 바뀌었다. 각계의 노력으로 지난해부터 다시 국경일로 지정돼 행사를 치르고 있으나 공휴일에서는 제외됐다.

한글은 우리 민족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인터넷 시대에 그 독창성과 과학성이 더욱 빛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한글날이 공휴일에서 제외된 것은 아쉽다. 한글학회 등 한글단체와 문화관광부가 한글을 기리는 다양한 행사를 준비해 놓고 있으나 평일이라 참여율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은 한글날이다.

배상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