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성장 19년만에 최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지난해 4.4분기 日本경제성장률의 최대특징은 엔高에 의한 수출부진등 外需요인이 그대로 반영됐다는 점이다.
이 기간중 재화와 서비스수출에서 수입을 뺀 外需는 경제성장률을 0.6%포인트 끌어내리는 역할을 했다.
반면 개인소비와 설비투자등 內需는 경제성장률을 겨우 0.03%포인트 끌어올리는데 그쳐 거의 무시해도 좋을 정도였다.
일본의 무역수지가 지난해 1천4백억달러가 넘는 흑자를 기록했는데도 외수가 경제성장에 마이너스로 작용한 것은 무역수지흑자가달러표시 흑자일 뿐 물량기준으로는 감소한 탓이다.외수가 부진했던 것은 엔高때문이다.
日경제기획청은『93년2월이후 시작된 엔高로 인한 수출부진이 7~9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10~12월에 접어들면서 자동차와철강을 중심으로 큰 영향을 끼친 결과 외수가 성장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풀이했다.
그러나 수출도 지난해 연말부터 美國의 경기확대로 반도체수출등이 호조를 보여 밝은 징표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따라 올들어 1월중 수출은 물량기준으로 지난해 12월보다3.0% 늘어났다.또 지난해 4.4분기중 민간소비지출도 전년동기보다 0.7%늘어 3.4분기의 0.4%증가에 이어 6개월연속증가로 나타나 경기회복에 밝은 전망을 던져주었 다.
이는 4.4분기 GDP를 0.4%포인트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버블경제시 구입한 가전제품등의 대체수요가 일어나기 시작한 때문이다.
민간최종소비지출이 늘었는데도 GDP증가에 기여하지 못한 것은민간설비투자 부진이 가장 큰 이유다.4.4분기중 설비투자는 전년동기보다 3.5%나 감소,GDP를 0.7%포인트 끌어내리는 역할을 했다.설비투자 부진이 소비증가등 성장에 플러스 역할을 한 다른 내수요인을 상쇄,내수의 對GDP 기여도를 0.03%포인트로 낮췄다.
한편 일본의 경우 불황탈출은 언제나 수출이 호황을 보이면서 경기회복의 기관차 노릇을 해왔으나 이번에는 그렇지 못하다는데 고민이 있다.
수출이 회복될만 하면 무역수지흑자 확대로 인한 국제압력으로 다시 엔高가 진행돼 기업수익이 악화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기때문이다.
[東京=李錫九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