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1년 앞둔 베이징 '문화도시 단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내년 베이징(北京) 올림픽을 앞두고 베이징에 박물관 설립이 한창이다. 주로 지방 정부나 민간 연구단체가 주도해 왔으나 이젠 상당수 지역 사회나 민간 기업도 건립을 준비하고 있어 더욱 붐을 이룰 전망이다.

베이징시 문물국의 수샤오펑(舒小峰) 부국장은 15일 "지난달 말 현재 베이징 시내에는 모두 140개의 박물관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며 "이는 인구 10만 명에 하나꼴로 이미 중진국 수준에 올라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물관 건설은 특히 올해 집중됐다. 수 부국장은 이날 베이징에서 열린 '베이징 내 박물관 건설 상황 보고서'에서 "올해 들어 한 달에 하나꼴로 모두 7개의 박물관이 문을 열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박물관 건설은 올림픽 유치가 확정된 뒤인 지난 3년간 가장 활발했다"며 "매년 평균 3~5개의 박물관이 들어섰다"고 밝혔다. 최근 건립된 박물관의 특징은 사설 연구단체를 중심으로 한 민간 박물관이 많다는 점이다. 초기 공산당 사상가인 리다자오(李大)박물관, 영화박물관이 대표적이다. 일부 지역에선 그 지역의 특징을 살린 박물관 건립도 추진 중이다.

화가의 도시로 유명한 퉁저우(通州)의 쑹좡(宋莊), 예술의 거리로 유명한 다산쯔(大山子)의 798 예술구 등은 현재 자체 박물관 건립을 위해 준비위원회를 결성한 상태다.

민간 기업의 박물관 설치 움직임도 한창이다. 오리구이로 유명한 취안쥐더(全聚德), 유명한 한약제 상점인 퉁런탕(同仁堂) 등 전통기업은 지난달 연구회를 열고 자체 박물관 건립을 추진키로 했다. 이에 따라 개성 있는 박물관들이 베이징의 새로운 관광상품으로 등장할 전망이다.

수 부국장은 "박물관이 매우 빠른 속도로 늘고 있지만 문제점도 많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준비 없이 들어서는 바람에 곧 문 닫을 처지에 놓인 박물관도 적지 않다. 문물국 비준을 거치면 누구나 박물관을 세울 수는 있지만 민간 박물관도 공익기관이기 때문에 소정의 입장료 징수 외 영리 활동이 일절 금지되기 때문이다. 입장객이 부족한 상황에서 자칫하면 박물관 운영비조차 마련하기 어려울 수 있다. 탄탄한 경제적 기반이 있어야 박물관을 꾸릴 수 있는 이유다.

박물관 관리 부실도 문제로 꼽혔다. 서둘러 개관만 해 놓곤 관리는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정작 시민들이 박물관을 거의 찾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그러나 수 부국장은 "박물관이 점차 늘어가면서 이런 문제점이 하나 둘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베이징=진세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