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가락하는 이 대표 북한 발언/박영수 정치부기자(취재일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기택 민주당 대표는 여러차례 방북의사를 밝히면서 그에 맞을만한 갖가지 논리와 수사를 붙였다. 「민족의 화합을 위해서」라거나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문제의 타개를 위해서」라는 등의 커다란 대의명분이 주조였다.
18일 이 대표가 대구에서 열리는 물오염 정책토론회에 참석하기 앞서 벌인 해프닝은 과연 그가 무슨 복안과 논리를 갖고 북한을 방문하려는지에 의문만을 증폭시켜 주었다.
이 대표가 대구를 방문한 것은 이 지역의 수질오염실태를 직접 몸으로 겪어보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때가 때이니 만큼 기자간담회에서는 그의 북한방문 얘기가 주류를 이뤘다. 간담회가 끝날 무렵 한 기자가 미국의 남북한 비핵화 공동선언 국제조약화 요구에 대한 견해를 물었다. 그러자 이 대표는 기다리고 있었다는듯 『중요한 문제인데 받아적으시죠』라며 쪽지 한장을 꺼내 읽기 시작했다.
그 요지는 비핵화 공동선언은 핵의 평화적인 이용을 보장할 수 있도록 수정돼야 한다는 것이었다. 또 하나는 비핵화 선언이 수정되면 국제조약화를 검토해볼 수 있다는 충격적인 얘기였다.
물론 비핵화선언의 수정부분은 당 일각에서 나왔었지만 이 대표가 방북문제를 제기한데 이어 또다른 남북문제를 들고 나왔다는 점에서 충분히 주목받을만 했다. 특히 국제조약화 문제는 정부에서 부인한 것이기 때문에 재차 이 대표의 의중이 궁금했다.
기자들의 질문이 많아지자 이 대표는 『이 문제는 없었던 것으로 하자』며 급작스레 발을 뺐다. 토론회장으로 향하는 차에 오르기전에도 이 대표는 『안그래도 당에서 나 혼자 한다는 얘기들이 많은데 취소합시다』며 다시 뒤로 물러났다. 비핵화선언은 민족내부의 합의사항인데 어떻게 국제조약화 할 수 있느냐는 질문이 그를 뒷걸음질하게 한 것 같다. 그러나 그뿐 아니다.
이 얘기가 가시화된다는 말이 전해지자 다른 메모가 나왔다. 『비핵화 공동선언의 국제조약화는 반대한다』는 정반대의 주장이었다.
또 『우리 비핵화선언의 국제조약화에 앞서 일본·중국 등 동북아국가들의 핵문제도 거론돼야 한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도시 무슨 발상과 논리인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환영한다」고 했다가 「반대한다」고 뒤집는데 불과 30분도 안걸렸다. 이래가지고 어떻게 북한을 가겠으며 설령 가더라도 이런 취약한 논리로 노련할대로 노련한 김일성주석을 어떻게 독대할 수 있겠는가.
남북문제는 구호와 한때의 인기영합적 발언에 의해 성사되는게 아니라는 사실을 이 대표는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대구에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