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진로 논란/일부서 “해체후 교사단체로” 주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교조(위원장 정해숙)가 존폐여부를 포함,해직교사들의 복직후 전교조의 방향에 대해 심각한 갈등을 빚고있다.
전교조 관계자들에 따르면 전교조 임원 2백여명이 참가해 6∼8일 속리산에서 열렸던 전국 임원연수에서 일부 임원들이 『전교조를 해체,노조성격이 아닌 다른 교사단체를 만들자』는 의견을 강력히 제기,논란을 빚었다는 것이다.
전교조 해체를 제기한 해직교사들은 『현행법상 공무원의 노조활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전교조 결성이 헌법재판소에서까지 불법으로 규정된 이상 전교조라는 명칭을 갖고는 새정부 하에서 공개적인 활동이 불가능하다』며 『전교조가 임금교섭 등 노조의 역할보다는 교육민주화와 개혁 등에 더 중점을 둬왔고 그같은 주장과 역할은 문민정부하에서 노조가 아니라 교사단체를 결성해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주장은 발제를 거쳐 분임토의까지 거쳤으나 『전교조를 해체할 경우 정부로부터의 탄압과 견제는 줄어들겠지만 한국교원총연합회와의 차별성이 모호한데다 교사들의 이탈이 가속화돼 자칫 지금까지의 교사운동 자체가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는 반대에 부닥쳐 공식화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전교조 자체를 해체하자」는 주장은 해직교사 1천4백90명중 1천4백24명이 전교조 탈퇴각서를 쓰고 새학기부터 교단으로 돌아갈 예정인 가운데 처음 제기된 것이어서 앞으로 전교조의 위상·활동을 둘러싸고 계속 논란을 빚을 것이 예상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