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공서 주차 유료화하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남편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국영기업체 직원이다. 문민정부의 고통분담 호소 이전부터 약8년 동안 물가인상 억제책으로 봉급이 동결되다시피 하여 지금은 공무원과 별 차이 없는 박봉이 돼버렸다.
그러나 반 공무원의 아내로서 남다른 사명감으로 감수해 왔는데 중앙일보 7월5일자(일부지방 6일) 김성희씨의 「관공서 주차난 덜기 위해 요금 받자」는 글을 읽고 대단히 섭섭했다.
공무원 자신은 공복이라는 사명감을 가져야겠지만 그렇다고 국민 모두가 공무원에 대한 시각을 「일하지 않고 세금으로 생활하는 사람」으로 보고 무조건 회생을 강요한다면 그 또한 시대에 뒤떨어진 생각일 것이다. 공무원도 직업인이라는 인식을 해야 할 것이다. 소속직원의 출퇴근용 차량에 대해 주차비를 받는 회사는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을 것이다.
민원인의 주차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기직장인 관공서에 주차한 공무원들에게 주차비를 받게 하자는 발상이나 공무원들에게 버스나 자전거를 타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사고는 극도의 이기주의 아니면 논리의 모순이 분명하다.
공무원이나 국영기업체에선 10부제는 기본이고 주차장 사정에 따라서는 5부제, 3부제까지 시행하는 기관이 많다. 그러나 개인사업자나 일반회사에선 10부제마저도 외면하고 있다. 최근에 지은 관공서가 아니면 대부분 주차장이 협소하다.
이는 급증하는 차량증가를 예상치 못했던 탓으로 자가용을 갖고 가는 민원인들의 주차에 따른 고충도 이해되지만 김성희씨가 「관공서 갈 때는 대중교통을 이용하자」든가, 아니면「관공서에 민원인 전용 주차장 확보를」이라는 글을 썼더라면 더 좋았을 듯 싶다.
김인순<경기도수원시정자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