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이렇죠] 65세이상 노인은 매년 치매검사 받으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8면

고령화 사회로 들어서면서 치매환자가 날이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치매 하면 늙어서 생기는 불치의 병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요. 하지만 치매도 일찍 발견해 치료하면 진행을 늦출 수 있으며 예방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선 치매가 상당히 진행돼 가족이 괴로운 상태가 돼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유는 대부분 치매환자 하면 기억력이나 판단력이 사라져 사회생활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식사.몸 단장처럼 간단한 자기관리조차 못하는 말기환자를 떠올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치매도 다른 병처럼 초기.중기.말기 등 여러 단계가 있습니다. 경증이라 할 수 있는 초기 치매환자는 웬만큼 중요한 일은 모두 기억하며, 사소한 일도 약간의 힌트만 줘도 정답을 알아냅니다. 특별히 복잡한 일을 하지 않는 한 사회생활도 가능하지요. 따라서 주변에서 치매 초기단계라고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치매가 중등도로 진행된 환자도 최근 며칠 동안에 있었던 일은 잊어버리지만 과거에 있었던 일은 잘 기억하는 경우가 많아 치매라는 의심을 하지 못하기도 하지요.

조기 진단이 어려운 또 다른 이유로 치매의 다양한 증상을 꼽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어떤 환자는 치매가 상당히 진행돼 대소변을 못 가리고 '내 물건을 훔쳐갔다'는 식의 불합리한 의심도 많이 하지만 기억력이나 계산력에는 문제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치매가 시작된 것 같다며 보호자 손에 이끌려 병원을 찾은 환자 대부분은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라는 게 치매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따라서 65세 이상 노인들은 매년 건강검진과 함께 치매 조기발견을 위한 인지기능 검사를 받는 게 좋습니다. 치매가 만성화한 뒤에는 일상생활을 지원하거나 난폭한 행동을 진정시키는 약물을 사용하는 등 대증적인 처방밖에는 없기 때문입니다.

황세희 전문기자.의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