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원전센터' 파문 확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9면

서울대 부지 내 관악산에 원전수거물관리시설(원전센터) 을 유치하자는 서울대 교수들의 제안을 둘러싸고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관할 관악구청 등 지방자치단체(지자체)들이 즉각 반발하고 나선 데 이어 환경단체들이 반대 움직임에 가세했다.

민주노동당 당원들과 서울대 환경동아리 학생 20여명은 8일 낮 서울대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서울대 교수들은 학생.지역주민.관악산을 찾는 시민들의 의견을 물어보지도 않은 채 원전센터 유치를 제안했다"며 "이는 관악산을 서울대의 소유물로 여기는 특권 의식"이라고 비난했다.

녹색연합은 이날 성명을 발표, "서울대 교수들의 원자력에 대한 맹신을 규탄한다"며 "교수들의 제안은 현실성이 없다"고 일축했다.

서울환경연합도 "부안 사태의 핵심은 핵폐기장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원자력 중심의 전력 수급 구조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관악구청은 9일 지역 주민 대표와 구 의원 등이 참석하는 대책회의를 열어 반대 성명을 발표하는 한편 관악산을 접하고 있는 금천구.안양시.과천시 등 인근 지자체들과도 공동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서울대의 입장은 관악산 유치에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관악산 유치 서명을 주도한 원자핵공학과 강창순 교수는 "관악산이 원전센터 부지로 손색이 없다는 소신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제한 뒤 "서울대의 환경.원자력.지역개발 등 전문가로 구성된 교수집단이 유치를 반대하는 지역 주민과 학생들을 논리적으로 설득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서명에 참여한 한 교수는 "정운찬(鄭雲燦) 총장도 서명 교수들의 생각과 다르지 않으며 진지하게 검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대 유근배 기획실장은 "기획실에서 원전센터에 대해 사회.정치.과학적으로 접근하는 자료를 만들고 있다"고 밝혔으나 "아직 본격적인 실무 검토에 착수하지는 못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배노필.임미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