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유전구설” 걱정/공개재산 평균액 장관급보다 많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의혹살만한 일부사례도 드러나/설명서 돌리는 등 해명에 안간힘
검찰의 고위간부들이 무슨 재산이 그리 많은가.
차관급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이 공개된 27일 검찰은 1위부터 10위까지 「재산많은 공직자」들 가운데 검사장·고검장이 5명을 차지하자 국민들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까를 놓고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장관·민자당 국회의원들의 재산공개를 놓고 국민들의 걷잡을 수 없는 분노와 지탄이 쏟아져 물의를 빚은 의원들이 사퇴하고 일부는 사법처리까지 걷론되는 마당에 사정기관인 검찰 고위간부들이 혹시라도 재산형성과정에서 의심받을 구석이 있다면 국민들이 이를 용납하지 않을게 뻔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새정부의 부정부패 척결작업과 관련,「사정기관 사정」까지 거론되고 있는 시점이어서 검찰의 입장은 더욱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번 재산공개를 통해 검찰은 결국 다른 공직자들보다 「훨씬 잘 살고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62억5천여만원을 신고한 정성진대검중수부장이 재산공개대상 1백25명의 차관급중 랭킹 1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재산을 공개한 법무차관과 검찰간부 40명 가운데 7명 재산이 20억원 이상이었고 15억∼20억원 사이는 2명,10억∼15억원은 4명,5억∼10억원이 20명,5억원 이하가 7명으로 집계됐다.
또 이들이 공개한 재산평균액은 12억5천여만원으로 국회의원 평균인 25억원의 절반정도지만 평균 10억여원이었던 장관보다 많다.
하지만 일부 검사장들이 공개한 내용중에는 목적이 불분명한 서울근교의 토지 매입 등 투기의혹을 살만한 사례도 군데군데 드러나고 있으며 만일 허위신고·재산은폐사실이 드러날 경우 곧바로 공직에서 물러나게 하는 등 강력한 문책이 불가피하는 여론이다.
검찰도 이같은 국민들의 시선을 의식한듯 총무처와는 별도로 재산과다소유자의 재산취득과정을 자세히 기록한 설명서를 돌리는 등 여론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검찰은 『비록 여론의 집중포화를 받더라도 재산을 숨기거나 액수를 축소하지는 않았으며,투기성 투지매입이나 공직을 이용한 축재가 없었다』고 강조하고 있다.
대검의 한 관계자는 『국회의원들이 재산을 축소신고했기 때문에 여론으로부터 더 큰 비난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잘알고 있다』며 『검사장들에게 언론의 추적과 정부의 실사과정에서 축소사실이 드러날 경우 변명의 여지가 없다는 사실을 여러차례 통보했으므로 이번 발표는 신뢰해도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