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불건전관행 단속/은감원/설문서비치·특별감찰반 구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앞으로 각 금융기관 점포에 불건전 금융관행에 관한 설문서가 비치되고 신규여신이 나갈 때는 반드시 대출을 받는 기업이나 개인이 이 설문서를 작성해 은행감독원에 보내게 된다.
그러나 이같은 제도는 은행의 업무부담을 고려해 6개월 동안 한시적으로 운용된다.
또 금융기관별로 검사부에 특별감찰반을 구성,불건전 금융거래행위를 집중 단속하게 된다.
김명호은행감독원장은 6일 전국 은행장회의에서 이같은 금융부조리 근절대책을 밝혔다.
이에 앞서 조용만재무장관은 6일 오전 롯데호텔에서 한국금융연구원이 주최한 은행경영인조찬회에 참석,인사말을 통해 『최근 기업이 대출을 받을때 33%의 기업이 비공식적인 수수료를 준다는 충격적인 조사결과가 있었고 이같은 현상의 원인은 복합적이겠지만 가장 책임이 있고 부끄러워해야 할 사람들은 금융관계인』이라고 지적했다.
김명호은행감독원장도 이날 오전 은행감독원에서 전국은행 및 지방은행장 회의를 주재하고 올해의 은행감독방향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최근 금융계를 바라보는 외부의 시각이 곱지만은 않은 가운데 금융기관이 부도덕한 고리대금업자의 집단으로 비춰지고 있는 것은 개탄할 일』이라며 『꺾기나 대출 커미션은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는 금융관행이므로 불건전 금융거래를 올해의 중점 검사 대상으로 삼는 한편 특별감찰활동도 함께 실시,부조러 척결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