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내 공모 없나 했더니…(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광주대·한양대·덕성여대의 입시부정에 이어 이젠 광운대 내부의 조직적 입시부정까지 드러났다. 수법도 다양하다. 삐삐가 동원됐고 조직적인 대리시험이 이뤄졌으며 컴퓨터에 의한 내신성적 조작까지 했다. 현직 교감과 교사,그리고 재단의 친·인척에 대학행정의 책임자가 범죄를 주도하고 명문대 수재라할 대학생들이 하수인으로 가담했다.
단순히 입시부정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엄청난 총체적 사회범죄 증후군이 대학입시를 둘러싸고 벌어진 것이다. 그것도 이번 한번만이 아니라 그동안 내내 저질러진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으로 증폭된다. 범죄가 드러난 몇몇 대학만이 아니라 어느 대학이나 이럴 수 있다는 불신으로까지 확산된다. 대학에 대한 신뢰와 권위를 한꺼번에 무너뜨리고 우리 사회의 전반적 도덕성을 의심케 하는 이 의혹과 불신풍조를 어떻게 수습해야 할 것인가.
입시범죄를 용의주도하게 파헤친 경찰은 이번의 개가에 만족하지 말고 지속적인 수사로 입시범죄를 발본색원 하는 전기로 삼기를 당부한다. 입시부정이 더 이상 발붙이지 못하게 다른 조직은 없는지,타대학의 부정사례는 없는지를 치밀하게 수사해야 할 것이다.
대학의 신뢰와 권위를 확보하려면 누구보다도 대학 스스로가 앞장서야 한다. 입시범죄가 저질러진 대학만이 아니라 모든 대학이 부정과 범죄가 개입될 소지를 없애고 입시관리를 담보할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여러번 지적한 것이지만 금년도 대학입시부터는 내신성적이 중시되고,대학이 출제와 관리를 맡는 대학별 본고사가 있게된다. 부정의 소지가 늘어남에 비해 입시관리의 틈은 더 벌어질 수 있다. 때문에 대학 스스로가 나서지 않고서는 장기적으로 입시부정을 막을 방안은 없다.
대학입시 부정이 일어날 때마다 대학 경영자들은 그 모두가 대학재정이 빈곤한 탓에 생겨난 부득이한 사고라고 강변하고 기부금 입학제의 도입을 촉구해왔다. 그러나 광운대 입시범죄에서 보듯 부정입학은 대학재정을 돕기위한 것이기 보다는 재단의 친·인척과 대학책임자들의 사욕을 채우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았다. 또 이런 범죄가 이번 한번이 아닌데다 한 대학에만 국한되는 사례라고만 볼 수 없기 때문에 재단비리에 대한 의혹은 더욱 높아진다.
대학의 자율성을 내세우고 대학 재정의 빈곤을 빌미로 삼기전에 대학 내부의 자쟁노력이 대학 내부에서 일어나야 한다. 대학의 학생선발권을 주장하기에 앞서 입시관리의 철저성을 강구하는 자체노력이 더욱 시급하다.
재차 강조하지만 실추된 대학의 신뢰와 권위를 회복하는건 대학 스스로에 달려있다. 교수협의회와 같은 조직에 의해 철저한 내부감사와 입시부정의 예방책이 제시되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