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직원 13% 줄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서울시가 대대적인 '몸집 줄이기'에 나섰다.

앞으로 3년간 채용을 최소화해 본청 직원(1만 명)의 13%선인 1300여 명의 직원을 줄일 계획이다.

조직 진단을 통해 효율이 떨어지는 국.과를 통폐합하고 여기서 남은 인원을 일거리가 많은 곳에 재배치한다.

하지만 인위적으로 직원을 내보내지는 않을 계획이다. 정년 퇴직과 같은 자연감소 분을 충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직원을 줄이는 것이다. 연초 무능.태만 공무원을 퇴출해 '일하는 분위기'를 만든 데 이어 경쟁력 있는 조직을 만들기 위한 두 번째 조치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7일 "직원을 인위적으로 내보내지 않고 퇴직에 따른 자연감소 분을 덜 채우는 방식으로 몸집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시는 29일 대학교수와 같은 외부전문가와 시 간부를 중심으로 '조직진단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조직 진단에 들어갈 계획이다. 자문위원회는 올 하반기 동안 서울시 38개 실.국.본부의 업무를 분석한 뒤 필요 없는 팀이나 과(科)를 통폐합할 계획이다. 여기서 남은 인력은 공공 디자인 분야처럼 행정 수요가 몰리는 곳에 재배치한다.

오 시장은 "시에는 분명 임무를 다한 조직과 잉여 인력이 존재한다"며 "이들이 제대로 일하도록 만드는 게 세금을 내는 시민들에 대한 도리"라고 강조했다.

?'조직 슬림화 어떻게'=25개 자치구와 산하단체, 서울시립대와 소방직 공무원을 제외하고 서울시가 인사권을 행사하는 본청 소속 공무원은 1만여 명 이다. 이중 매년 300~400명 정도가 정년퇴직하는 만큼 3년 동안 1300여 명을 줄이는 데는 어려움이 없다는 게 서울시의 판단이다. 올 상반기 퇴직자는 161명이다.

서울시는 특히 내년부터 대졸자 선발 인원을 평상시의 80% 선으로 줄이고, 단순 문서수발과 같은 일을 맡은 일용직을 채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몸집 줄이기'가 계획대로 이뤄지면 서울시 본청 직원 수는 2010년에는 8700여 명으로 줄어든다.

참여정부가 출범한 이래 4년 동안 4만8000여 명의 중앙정부 소속 공무원이 늘어나고, 앞으로 5년 동안 추가로 5만1000여 명을 늘릴 계획과 비교하면 서울시의 이번 조치는 파격적인 셈이다.

저항도 만만치 않다. 서울시 노조는 직원이 줄면 일이 많아진다는 이유로 반발하고 있다. 임승룡 시 노조위원장은 "인원을 줄이는 것은 근무 조건의 변화와 관련된 것인 만큼 노조와 협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수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