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대 6천여명 사상 최대 유급위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총장 퇴진, 관선이사 파견 등을 요구하며 수업을 거부 중인 동덕여대 학생 6천여명이 법정 수업일수 부족으로 집단 유급될 위기에 처했다. 이는 대학 사상 최대 규모다.

이들이 유급될 경우 재학생들의 피해는 물론이고 대학 운영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2005학년도 입시에서 유급된 1학년 학생 수 (1천5백여명)만큼 신입생을 못 뽑게 되기 때문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1월 4일부터 수업거부를 하고 있는 동덕여대 학생들이 29일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유급을 피할 수 없다고 24일 밝혔다.

◇수업거부 배경=교육부가 지난 7월 실시한 종합감사에서 이사장과 조원영 전 총장의 법인.교비회계 부당집행 사실이 밝혀진 것이 불씨가 됐다. 재단에 대한 불신이 배경이 된 것이다.

교육부의 감사 결과에 따라 전임 총장이 사퇴하고 송석구(전 동국대 총장)총장이 새로 선임됐다. 그러나 일부 교수와 학생들은 재단 측의 일방적인 선임이라며 새 총장 퇴진과 교육부의 임시이사 파견을 요구하며 수업거부에 들어갔다. 교육부가 ▶신임이사 5명을 포함한 이사진 개편▶새 총장에 대해 1년 후 신임투표 등의 중재안을 제시했으나 모두 거절됐다.

현재 6천7백여명의 재학생 가운데 약학과 4학년 50명과 의상디자인 전공 1~4학년 5백33명 등 8백55명을 뺀 6천명에 가까운 학생이 수업을 거부 중이다.

◇집단 유급 우려=고등교육법에 따라 학생들은 2학기에 15주 이상의 수업을 해야 다음 학년으로 진급할 수 있다. 그러나 수업거부가 장기화되면서 현재 7주 정도의 수업결손이 나 있다.

결국 내년 새학기 시작 전까지 이를 보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늦어도 29일부터는 수업이 재개돼야 한다.

학생들은 오는 29일 전체 학생 투표를 통해 수업 재개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유급 사태가 벌어질 경우 재학생들은 한 학기 등록금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또 4학년은 졸업이 한 학기 늦춰져 취업 등에 지장받을 수도 있다.

교육부는 유급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이미 수시모집에 합격한 학생(3백41명)과 정시모집에 원서를 낸 학생(7천여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04학년도 신입생 모집은 허용할 방침이다.

김남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