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급신도시, 본래 개발 취지 퇴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분당급 신도시가 경기 화성시 동탄신도시 동쪽으로 확정된데 대해 전문가들은 신도시 개발의 본래 취지가 퇴색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인천 검단신도시 개발계획 발표 당시만해도 추가 개발할 신도시는 강남 수요를 흡수할 '강남 대체 신도시'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입지나 수요가 아닌 규모에 초점을 맞춘 '분당급 신도시'로 전모했다는 것이다.

신한은행 고준석 부동산팀장은 "정부가 이번 수도권 신도시 개발 목표가 무엇인지 잊은 것 같다"며 "분당 규모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강남 주택 수요를 흡수할 만한 곳에 신도시를 개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내외주건 김신조 사장도 "서울에서 동탄보다 더 멀리 떨어진 동탄2신도시가 강남 사람들을 얼마나 끌어들일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동탄신도시 분양때도 서울보다는 화성, 수원, 오산 등 인근 지역 수요자가 더 많았다"고 설명했다.

경부고속도로를 축으로 신도시와 택지지구 등이 지나치게 집중돼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분당·동탄신도시, 용인 죽전·동백·수지지구 등이 입주해 있는데다 판교·광교신도시, 용인 흥덕·동천·성복지구 등이 줄줄이 들어설 예정이기 때문이다.

김신조 사장은 "동탄신도시 입주에 맞춰 개통하려고 했던 도로의 절반 정도가 보상 문제 등으로 착공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금도 경부고속도로 정체가 심각한데 충분한 인프라 개발 계획없이 개발이 이뤄진다면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도 "동탄2신도시는 규모면에서는 딱 들어맞지만 경부고속도로축 개발이 너무 과밀하다는 것이 문제"라며 "당장 화성, 용인, 오산 등 분양 단지가 청약과열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거론됐던 분당급 신도시 후보지 가운데 가장 적합한 곳이라는 분석도 있다.

스피드뱅크 박원갑 부동산연구소장은 "화성 동탄 일대는 성장관리권역이어서 자연보전권역인 용인 모현이나 광주 오포보다는 신도시로 개발하기 수월하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투기 소지도 적다"고 설명했다.

박 소장은 이어 "신도시 예정지구내에 한원CC, 기흥CC, 리베라CC 등 골프장이 들어서 있고 기흥IC 인근에 소규모 공장들이 많아 보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는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