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지난달보다 많은 작품이 쇄도하여 흐뭇하였으나 작품을 거르고 거른 후에 남은 작품들의 수준에는 그런 기대감에 못 미치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러나 시조의 저변확대라는 지상백일장의 취지를 되새겨 볼 때 많은 응모는 훗날의 밑거름이 되리라 맏는다. 장원에 오른 김여선의『시장에서』는 내용의 무게는 약했으나 표현의 참신성이 돋보였다. 앞으로 내용을 알차게 담는다면 기대할만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생각한다. 차상에 오른 김수엽의『개똥참외』는 순박한 정서에 호감이 간다. 꾸밈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 기교를 높이 평가할 만 하다. 차하에 오른 현근우의『우후』는 독자의 시선을 끌만한 수준의 새로운 시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산만하여 연결고리가 약한 것이 흠이라 할 수 있다.「여윈 발끝을 깃털 속에 접었다』는 구절 등에서 표현의 신선함은 인정되나 내용을 깊이 파고들면 실망감이 드는 것은 무슨 연유일까. 위의 세 작품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보여진다. 입선으로 밀려나긴 했지만 이숙례의『자갈치 아지매』는 차상·차하와 경합된 작품으로 사물과 현실을 정확하게 직시하는 자세에 호감이 가며, 윤영수의『봉숭아』는 부담 없는 솔직한 정서는 높이 살만하나 그런 만큼 미학이 떨어졌으며, 김형진의『무덤』은 내용을 더 구체적으로 다뤘어야 했으며, 곽신영의『차 한잔』은 섬세한 여성적 감각들이 보이나 미려한 어휘들이 시적 표현의 효과에 걸림돌이 되었다. 최일법의『간이역』은 의욕은 앞섰으나 내용이 미치지 못하였다. 상투적인 표현들이 특히 눈에 거슬린다. 오랫동안 투고해주신 이우식씨는 이미 문단에 등단한 작가로서 앞으로 활발한 활동이 기대된다.
심사위원: 이우컬·지성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