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 비만과 산후풍을 한방에 치료하자!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얼마 전 출산을 한 여자 연예인들이 출산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출산 전과 같은 날씬한 몸매로 되돌아온 사진들을 인터넷에서 볼 수 있었다. 여전히 매력적인 몸매들로 사람들의 부러움을 자아낸 그들은 어떻게 그렇게 빨리 회복 할 수 있었을까?라는 궁금증을 많은 사람들에게 일으켰다. 산후에는 많은 산모들이 잘 빠지지 않는 살과, 심한 부종, 우울증, 몸의 이곳저곳이 쑤시고 아픈 산후풍 증상 등으로 고생하게 된다. 이런 증상들을 어떻게 하면 현명하게 이겨낼 수 있을까?

우선 가장 눈에 띠게 보이는 것은 산후 비만이다.

출산 직후에는 보통 몸무게가 약 5.5kg정도 빠지게 된다. 그 후 2주 동안 약 4kg이 더 빠지고 분만 후 6개월 동안 2.5kg정도가 더 빠지게 된다. 여기에 모유 수유를 하게 되면 살이 빠지는 속도는 더욱 빨라진다. 그러나 모유 수유를 한다고 해서 과식을 하게 되면 살이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모유 수유를 하는데 젖이 줄어들까봐 과식을 할 필요는 없다. 또한 모유 수유를 하게 되면 자궁수축도 빨리 일어나 오로가 빨리 빠지고 피임도 가능하다. 그러나 산모가 살이 많이 쪘을 경우에는 피임이 잘 안되는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하여야 한다. 어쨌든 모유수유를 약 6개월 이상 하는 것은 아이에게도 산모에게도 좋은 일이다. 특히 산후 비만을 줄여주는 효과가 좋다.

출산 후 6개월이 지나도 출산 전 몸무게보다 2.5kg이상 증가해 있으면 산후 비만이라 보아도 무방하다. 이런 산후 비만을 방지하려면 우선 임신 중에도 몸무게 조절을 해야만 한다. 입덧이 끝나는 20주 이후부터는 산모의 식욕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아기를 생각해서 두 배로 먹어야 한다는 생각도 한몫을 해서 식사량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아기를 위해 더 필요한 영양은 하루 300-350kcal정도이다. 따라서 기본적인 균형잡힌 식사이외에 우유와 과일 정도만으로도 충분히 보충 할 수 있다. 그래서 임신 중에 11-13kg이상 몸무게가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산후비만을 막는 첫 번째 방법이다.

또, 출산 후에는 한동안 푹 잘 쉬어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하고, 또한 잉어나 가물치 등등 영양가가 높은 음식을 맘껏 섭취한다. 그러면서 너무 움직이지 않는 것은 오히려 순환을 방해하여 산후풍이 심해지고, 산후 비만으로 가는 지름길이 된다. 특히 복부비만과 하체비만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런 경우 어느 정도 몸을 움직이고 운동을 하여 주어야 자궁도 빨리 수축되고, 살도 빨리 빠진다. 그러나 너무 무리하게 움직이면 벌어진 골반이 잘 아물지 않아 나중에 산후 요통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몸을 따뜻하게 하고 과격한 동작은 삼가면서 복부근육운동이나 골반을 강화하는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모유 수유가 끝난 후에도 살이 잘 빠지지 않는다면 한의원에 한번 찾아가 보자. 산후에 기혈이 크게 허해진 것이 재대로 보충되지 않으면 몸에 붓기가 남아 살이 빠지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고, 순환부족이나 어혈이 풀리지 않아 살이 잘 빠지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산후에 요통이나 두통, 어깨통증 등등으로 관절이곳저곳이 아파오는 것은 흔히 느낄 수 있는데 이런 경우 한약과 함께 침 치료를 병행하면 빠른 시일 내로 호전을 보이게 된다.

특히 산후 비만의 경우에는 늘어진 복부의 살 때문에 체중이 빠져도 몸매가 예쁘게 돌아오지 않아 많은 산모들이 속상해 한다. 이런 경우 비만침을 맞으면 피하 조직과 피부 진피층을 자극하여 지방도 빼주면서 탄력을 되찾을 수 있다. 비만침의 경우에는 모유 수유를 하면서도 맞을 수 있기 때문에 탄력있는 몸매를 되찾고 싶은 산모라면 한번 관심을 가져볼만 하다. 보통 산후 비만의 경우에는 출산 후 6개월이내에 빼는 것이 가장 좋다. 늦으면 늦을수록 찐 살은 잘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건강을 잃지 않으면서 산후에 나타나는 증상들을 치료하면서 단계적으로 체중감량을 할수 있는 방법이 한방적인 산후비만 관리법인것이다.

도움말: 려한의원 대표원장 정현지 ( www ryeoclinic.com / 02-508-7171)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