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 박물관-조직 확대 개편 안 "진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오는 10월 청사 이전을 앞두고 국립민속박물관의 직제 개편안이 「작은 정부」를 주장하는 총무처의 반대에 부닥쳐 진통을 겪고 있다.
민속박물관 측은 이전을 계기로 고고·미술사 중심인 국립중앙박물관과 맞먹는 본격적인 민속·문화사 박물관으로의 위상을 확립하고 이에 걸맞은 조직을 갖춘다는 계획 아래 현재 4급인 관장을 1급 (관리관)으로 승격시키고 기구도 대폭 확대, 3부 9과에 1백58명의 직원을 두는 혁신적 (?) 개편안을 마련했다.
민속박물관 측은 조직의 확대 개편에 대한 근거로 현재의 중앙박물관은 ▲왕조사·귀족사 중심 박물관으로 고급 문화에 중점을 두고 있어 민족 문화의 뿌리라 할 수 있는 기층 민중의 생활 문화를 담아내지 못하고 ▲또 고고·미술사 중심이어서 전통적 생활 문화 자료를 지역적·통시적 시각에서 체계화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등을 들었다.
우리 박물관 정책이 고고·미술사 중심으로 운영된 반면 이미 선진국에서는 고 미술품 전시는 고고 미술 박물관이 맡고 생활 자료 전시는 민속·문화사 박물관, 생태 환경 및 과학사는 자연사·과학 박물관이 나누어 맡는 등 기능 분화가 이루어져 있다는 것.
이같은 취지로 민속 박물관 측은 조직 확대 개편 안을 작성했으나 정부의 「3급 이상 공무원 정원 동결」 방침에 따라 벽에 부닥치자 관장을 2급으로 낮추는 조정안을 새로 마련, 관철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오는 10월3일 개관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중인 민속 박물관 신청사는 전시실 규모가 2천2백여평으로 지금보다 4배 정도 넓어지며 전시 유물도 2천5백여점에서 5천5백여점으로 대폭 증가함에 따라 우선 이를 관리·운영할 인원만도 상당수 증원이 불가피한 실정임을 역설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 소극적인 전시와 유물 관리에 급급한 민속 박물관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전환, 전통 문화의 종합적 조사·연구와 사회 교육을 담당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걸맞은 직급의 상향 조정이 절실하다는 것이 박물관 측 주장. <김상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