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정유 지원책 묘안없어 고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외국사와 합작 시간상 여유없고/산은 자본참여도 출자한도 묶여
경영난을 겪고 있는 극동정유의 처리방안을 놓고 정부가 고심하고 있다.
그대로 놓아두면 부도가 날 형편이고 그렇다고 지원대책을 내놓자니 걸리는 것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게다가 극동정유는 오는 18일 이사회에서 1천1백60억원의 증자 결의를 할 예정이어서 정부로서는 늦어도 16일까지는 어떠한 형태로든 대책을 내놓아야 할 형편이다.
정부는 당초 한진·유공·호유·경인에너지 등 4개사로 하여금 극동정유의 증자에 참여토록 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들 대기업들의 증자참여는 여신관리 규정에 의해 보유부동산이나 주식을 매각해야 한다는 의무조항에 걸려 무산되고 말았다.
이들 기업들로서는 경영권 차지도 없이 돈만 내야 하는 일에 부동산이나 주식을 팔아가면서까지 참여할 까닭이 없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지난주 최각규 부총리 주재로 이용만 재무,진념 동력자원부장관 등이 모여 동력자원부가 재무부와 협의,새로운 지원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현재 거론중인 지원대책은 ▲산업은행 단독으로 4백80억원(총출자액에서 현대그룹 출자예정분 5백80억원과 장홍선 전 사장이 출자할 1백억원을 뺀 금액)을 출자하거나 ▲주거래은행인 상업은행 등 9개 은행이 공동으로 부채의 일부를 출자로 전환하거나 ▲외국 정유사를 자본주로 끌어들이는 것 등이다.
그러나 외국 정유사와 합작교섭은 시간관계상 너무 촉박하고 산업은행의 자본참여는 출자 한도에 묶여 어려운 실정이다.
또 9개 시중은행의 부채를 출자로 전환하는 것도 가뜩이나 경영이 어려운 은행들로서는 결코 달가운 일이 아니다.
현재 정부가 검토중인 방안은 9개 시중은행이 한시적으로 출자한 뒤 시간을 갖고 외국 정유사들과 교섭,은행의 출자분을 인수토록 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현재 영국의 로열 더치쉘·프랑스의 토틀사 등과 지분참여비율·조건 등을 협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한진범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