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사회참여 지원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27일 청와대에서 가진「교육개혁 및 문화창달과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합동보고는 관련부처들이 여성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첫 합동보고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는 지금까지 여성계로만 국한돼 있던 여성의 영역을 국가시책 차원에서 사회·문화 등 전 부문으로 넓혀 나간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합동보고가 나오게 된 배경은 노태우 대통령의『여성의 능력을 성으로 구분해 남성과 대립되는 시각에서 보지 말고, 사회 각 부문에 참여하고 기여한다는 통합적 시각에서 여성의 몫을 찾아야 한다』는 지론에 따른 것.
합동보고에서 정무(제2)장관실이「국가발전을 위한 여성의 역할」을 제목으로 내건 것도 이같은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성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정무(제2)장관실의 보고내용은 경제활력회복과 사회안정을 위한 여성의 역할 및 여성사회참여확대 지원체계 강화로 요약된다.
식생활 문화 개선으로 대표되는 근검절약 생활화라든가, 밝은 가정·바른 사회 만들기, 공명선거 풍토조성 등 사회안정을 위한 여성의 역할을 운동차원에서 각 가정에 뿌리내리기를 시도하겠다는 것이 정무(제2)장관실의 의도다.
이를 위해 건전 생활실천 범여성운동연합이 지금까지 해 오던 가두 캠페인이나 세미나 등 행사위주의 일들을 지양하고, 소속단체들마다 회원가정 실천운동을 벌인다 든 가, 반상회 조직을 통해 계몽활동을 벌인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그러나 하부조직체계를 갖고 있지 못한 정무(제2)장관실로서 운동의 성과를 어는 정도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여성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체제 강화방안으로 중앙부처에 이어 지방자치단체공무원 교육훈련기관에도 여성학관련과목을 확대 실시키로 한 것은 환영할 만하다.
또 여성직업훈련원의 기능을 강화해 공공직업훈련원에 여성직종 훈련과목을 확대키로 한 것이라든지, 산업고도화에 발맞춰 전문직종에로의 여성진출을 지원키로 한 것도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한 것이다.
각 부처는 합동보고 후 시행계획을 세워 관련부처간의 협조를 거쳐 실행해나간다. 이번 합동보고가 수년간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는 남녀고용차별 관행이라든가, 아직도 턱없이 부족한 직장탁아 등 보육시설문제의 해결을 앞 당겨 줄 것인지를 주시해 봐야 할 것이다. <홍은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