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Special Report] 대선캠프大해부, 참모들을 무대로 불러내는 이유

중앙선데이

입력

중앙SUNDAY 16대 대선 직전인 2002년 11월. 민주당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선대위원장을 맡아 정신이 없던 김원기 의원이 저녁 식사 때를 놓쳤다. 정대철 의원이 사무실에 놓여 있던 인스턴트 우동을 권했다. 이 맛에 끌렸던 김 의원은 대선까지 가끔 이 우동을 찾았다. 노 후보의 당선 후 최고 실세로 떠오른 김 의원이 직원에게 이 우동을 사오라고 했다. 김 의장의 반응이 재미있다. “이게 그거 아닌 것 같은데….” 사실 똑같은 우동이었다. 달라진 건 캠프의 그와, 최고 실세라는 위상의 차이였다.

5년마다 어김없이 장이 선다. 대선 캠프다. 주자들의 비전에 공감해서든 집권 후 자신의 입신을 위해서든 주자를 대통령으로 만드는 게 이들의 최우선 관심사다. 포용의 문화가 척박한 우리 사회에서 특정 주자의 캠프에 들어간 사람들은 ‘하이 리스크(high risk)’를 감내할 수밖에 없다. 반면 집권에 성공한다면 이들에게는 ‘하이 리턴(high return)’의 기회가 찾아온다.

노무현 후보의 정책자문 교수였던 김병준씨가 2005년 청와대 정책실장이 됐다. 당시 한 경제부처 차관은 “급히 김 실장의 교수 시절 저서를 구해 읽고 있다”고 했다.

2003년 7월 부안 사태 때였다. 노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청와대 핵심인 이광재 국정상황실장이 당시 윤진식 산자부 장관에게 “현금 보상금을 주민에게 지불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했다. 직후 부안을 찾은 윤 장관은 “현금 보상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국무회의에서 “불가”로 결론나자 부안은 끓어올랐다.

당시 문희상 대통령 비서실장은 “윤 장관이 이 실장의 아이디어 차원의 얘기를 대통령 의중인 줄 알았던 것 같다”고 역정을 냈다. 그렇다. 승리한 캠프의 핵심은 5년간 국정 전반에 상상하기 힘든 영향을 미친다. 오히려 음지의 참모들이 대통령을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역대 선거 때마다 관심의 사각에 있던 캠프의 참모들은 이제 양지로 나와야 한다. 대선 주자와 함께 검증의 무대에 서야 한다. 중앙SUNDAY는 캠프의 참모들을 무대에 소개하는 것으로 대선 첫 보도를 시작한다. 이 시도가 대통령을 만드는 사람들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을 촉진하는 ‘징검다리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최훈 기자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