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책갈피] 종업원과 열매 나눠야 회사도 큰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에퀴티 코리 로젠 외, 이동한.곽주원 옮김, 지식공작소, 312쪽, 1만5000원

인간은 소득에 의해 생존을 유지한다. 소득이 오직 자신의 일자리에서 나온다면 '소득 = 일자리' 사이의 연결고리를 끊자. 대신 다른 수입원을 만들자. 변호사이자 사회이론가인 루이스 켈소라가 1958년 발표한 '자본가 선언'의 핵심이다. 그의 이론을 좀더 들여다 보자. "부자들은 자본에서 소득을 얻어 생활한다. 더 많은 사람들이 자본 소유를 통해 수입을 향유한다면 삶은 나아질 것이고, 실업걱정도 사라질 것이다."

이상이 종업원주식소유제도(ESOP)를 주창한 켈소의 이론이다. 그의 노력에 힘입어 미국 유수의 기업들은 종업원소유제를 채택하고 있다. 예컨대 이런 식이다.

-스톡옵션 분배로 여러 해에 걸쳐 수천 명의 사원 출신 백만장자 배출(마이크로소프트)

-매년 약 50만 명의 종업원들에게 연봉의 10% 이르는 주식 보너스 제공(펩시콜라)

-15~20%의 지분을 근로자들이 소유(세계 최대 소비재 생산업체 프록터 앤 겜블)

미국에서는 대략 1만1000개의 회사들이 종업원소유제를 운영하고 있다. 인텔.시스코.아마존.아도비.이트레이드 등 첨단기술 회사뿐만이 아니다. 스타벅스와 사우스웨스트항공 같은 기업들도 그렇다. 이 제도의 적용을 받는 직원 수는 약 880만 명. 전체 민간 부문 종사자의 6%가량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 책은 이들 회사의 사례를 열거하며 종업원 소유 경영모델을 생생하게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런 회사들을 '에퀴티(EQUITY) 기업'이라 명명했다('에퀴티'는 '공정함'과 '기업주식'이라는 두가지 의미가 있다). 바로 에퀴티 기업은 바람직한 종업원 소유 기업모델이라고 지은이는 말한다. 또 종업원들이 회사 성장에 기여하는 만큼 그 열매를 나누고, 직원은 다시 회사에 더 기여하도록 하는 기업이라고 덧붙인다. 그 결과 기업과 근로자 모두 풍성한 수확을 거둘 것이라고 역설한다.

에퀴티 기업의 세가지 핵심도 열거한다. ▶종업원들이 경제적 이해관계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상당량의 주식을 제공하라▶소유주로서 생각하고 느끼며 행동하는 문화를 창조하라▶모든 직원이 경영방침을 이해하며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도록 지원하라 등이다.

한마디로 '종업원의 존엄성을 존중하라. 그러면 회사도 발전한다'가 이 책이 주는 메시지다.

정선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