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의결 봉쇄 회유說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이 27일 '청와대의 의원 회유설'을 제기, 대치정국 속에서 또 다른 논란이 불붙었다. 노무현 대통령 측근 비리 특검에 대한 재의(再議)를 막기 위해 청와대가 당초 특검에 찬성했던 의원 10명 이상을 포섭했다는 주장이다.

홍사덕 총무는 이날 상임운영위에서 "盧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다는 건 특검법안에 찬성했던 의원 10명 이상을 회유하는 데 성공했다는 의미"라며 회유설을 공식 제기했다. 이로 인해 재의를 부결시킬 수 있다는 확신이 섰기에 거부권을 행사했다는 주장이다.

이 같은 시각은 사실 한나라당 내에선 폭넓게 퍼져 있었다. 특히 한나라당은 자민련보다 민주당 쪽에 회유 의원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직.간접으로 盧대통령과 코드가 맞는 의원들이 상당수 포진해 있다고 지적하면서다.

한나라당은 이와 함께 민주당 한 중진의 비자금 관련 소환설도 여기에 결부시키고 있다. "이 중진과 가까운 의원들이 재의 부결을 조건으로 현 정권과 '모종의 거래'를 했을 공산이 적잖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 같은 의구심을 일축했다. 김성순 대변인은 "민주당은 대통령 측근 비리에 대해선 특검을 통해 국민적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는 입장을 시종일관 견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회유설에 대해 "처음 들어보는 얘기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부인했다.

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