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양 자수모임/세모 부사장·상무 개입/검찰 수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사후문제점·생계지원 논의”/박 교주 남편 사채관련혐의도 잡아
【대전=특별취재반】 오대양사건을 수사중인 대전지검은 12일 김도현씨(38)등 살해암장범들의 자수과정에 (주)세모 대표이사 부사장 박상복(50)·상무 고창환(44)씨 등 간부들이 개입,자수를 주도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박부사장을 소환해 유병언 사장의 관련 여부를 수사하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진행된 자수모임에 참석했던 참고인들에 대한 수사결과 박부사장·고상무가 자수모임에는 참석하지 않았으나 수시로 열린 자수모임 결과를 보고받고 이들의 자수후 발생할 문제점을 검토하는 한편 자수 대가로 생계지원대책 등을 논의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살해암장범·참고인들이 한결같이 암장범들의 자수 제의를 세모측이 이용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드러난 정황에 따르면 암장범들의 범행사실을 안 세모측이 자수를 강요하는 대신 생계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오대양과 세모의 연결고리를 끊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검찰은 세모의 내부구조상 유사장이 암장범들의 자수에 개입했을 가능성이 확실시된다고 말했다.<관계기사 20면>
검찰은 이와 함께 숨진 오대양사장 박순자씨의 남편 이기정씨(57)가 박씨의 사채모집과정에 개입한 혐의를 잡고 참고인 조사 등을 통해 혐의가 드러나는대로 형사처벌키로 했다.
검찰은 32명 집단변사의 정확한 사인을 밝히기 위해 고려대 명예교수 문국진 박사를 불러 당시 부검결과에 대한 소견을 듣는 한편 13일 오후 오대양 용인공장에 대한 현장 실황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한편 검찰은 오대양사건 수사와 관련,최근 의혹이 증폭되고 있는 5공 정치권과 세모 유사장과의 유착설 등을 진상규명 차원에서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오대양사건의 특성상 다른 의문점이 풀리더라도 정치권 비호설 등 의혹이 해명되지 못하면 수사결과에 대해 국민들을 납득시킬 수 없기 때문에 형사처벌과는 무관하게 진상파악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86년 청와대 진정사건에 대한 치안본부의 내사종결처리와 이과정에서의 고위층 압력설 ▲83년 세모에 대한 20억원 특혜대출 의혹 ▲당시 정치권과 고위층 측근의 유사장 비호설 등에 대해 진위 여부를 가리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