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안전보장안 사본 이달말 北전달"

중앙일보

입력

북한 핵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제2차 6자회담이 다음달 17-19일 베이징(北京)에서 개최될 것이라고 알렉산드르 로슈코프 러시아 외무차관과 중국 공산당 소식통이 잇따라 밝혔다.

특히 6자회담 준비 협상에 정통한 아시아 소식통들은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안 사본이 2차 6자회담 개최에 앞서 이달 말 중국측을 통해 북한에 전달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경우 북한에 제공될 수 있는 문서화된 안전보장안을 협의해 왔다.

북핵 6자회담 협의차 미국을 방문중인 로슈코프 러시아 차관은 24일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와 회담한 뒤 "아마도 12월17일 또는 19일" 차기 6자회담 개최가 계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자들에게 이 같이 전한 뒤 그러나 "그것(6자회담 일자)은 얼마나 준비가 잘 이뤄지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을 방문한 북한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영일 외무성 부상과 협의를 벌인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관계자도 차기 6자회담이 "내달 17일부터 19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릴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에 밝혔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생각으로는 "미국의 입장이 강경함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2차 6자회담 최종 일자는 미국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리처드 바우처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 같은 차기 6자회담 개최일정 확정 소식에 "아시아 언론을 통한 그 같은 보도를 본 것이 2∼3번째"라면서 "그러나 현 시점에서는 (회담) 일자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차기 회담이 12월에 열리길 희망하고 있지만 현 시점에서는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거듭 밝혔다.

한편 일부 보도에 따르면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참가 나머지 5개국은 현재 문서화된 (안전)보장안과 같은 것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는 것을 선언하는 내용의 성명서 내용을 성안 중에 있다.

그러나 미국은 북한이 핵프로그램을 검증가능하고 불가역적인 방법으로 폐기하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때까지 "북한에 대해 어떤 안전보장 제공도 불가능하다"고 간주하고 있다.

아사히(朝日) 신문은 이에 앞서 이번 회담에서는 북한에 대한 문서화된 안전보장안을 제공하는 대신 5개국이 북한에 대해 그 같은 안전보장을 제공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공동 문건이 채택될 수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도쿄 AFP.이타르-타스]jh@yna.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