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기밀문건 15부 더 있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15부가 더 있었다'.

유출 논란이 일고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대외비 전략 문건이 국회 한.미 FTA 특위 위원 숫자(30명)보다 15부나 많은 45부가 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지금껏 유출지로 의심받던 FTA 특위의 위원들 외에 다른 곳에서 문건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열린 국회 FTA 특위 전체회의에 출석한 김종훈 한국 측 협상 수석대표는 비공개 회의에서 "문제의 대외비 문건은 모두 45부가 복사됐다"며 "이 중 30부가 특위 위원들에게 배포됐고, 5부는 국회 FTA 자료 열람실에 비치했으며 나머지 10부는 필요한 사람이 썼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위 위원들에게 배포되지 않은 15부 가운데 유출됐을 가능성을 묻자 김 대표는 "관리는 철저히 했지만 그 때문에 (우리도) 고강도 조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현재 유출과 관련한 보안조사는 국가정보원이 맡고 있다. 김 대표가 정부의 문서 관리체계에 허술한 점이 있음을 시인한 것이다.

회의에선 또 한나라당 이혜훈 의원 몫의 문건이 회수되지 않은 걸 안 뒤에도 정부가 이틀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사실도 드러났다. 이에 앞선 공개 회의에서 위원들은 문건 유출 책임을 국회로 돌린다며 정부 측을 몰아붙였다.

▶민주노동당 심상정 의원="참담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앉았다. 나는 정부에 의해 지목된 가장 유력한 혐의자의 한 사람으로, 피의자 30명 중 한 명으로 여기 있다. 국회를 유출의 책임자로 지목한 근거가 뭔지 분명히 밝혀라."

▶한나라당 안명옥 의원="문건 유출을 계기로 협상단이 국회 측에 어떤 정보도 제공치 않겠다는 식으로 나오는데 사실 관계를 파악하기도 전에 국회를 모독하는 건 적절치 않다."

김종훈 대표는 이에 대해 "문서관리의 1차 책임이 정부 측에 있다는 생각으로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