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대입제도가 잘 되려면(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3년에 걸친 전문가의 의견수렴과 공청회,그리고 관련 교육단체의 열띤 공방의 우여곡절을 거쳐 이제 대입제도 개선안이 확정·발표되었다.
개선의 방향을 고교교육의 정상화,국가 관리의 공공성 확보,대학의 자율성 부여라는 세 가지 원칙에서 볼 때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할만 하다.
어떤 제도,어떤 개선안이든 방향과 목표가 현실에 적용될 때 일어나는 여러 혼란과 부작용을 어떻게 적절히 처리하느냐에 따라 그 제도와 개선안이 정착될 수 있고 의도된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신성적 반영비율을 높이는데 따른 치맛바람의 부작용,대학수학능력 시험이라는 낮선 제도에 대한 새로운 과외 성행,대학별 본고사 실시에 따른 입시반 편성,대학별 고사의 공정성 여부에 대한 시비 등이 분명 현실적 문제로 제기될 것이다.
원칙과 방향은 좋으면서도 현실 적용에서 생겨날 이런 혼란과 문제점을 어떻게 제거할 것이냐,이것이 새 대입제도의 성패를 좌우하는 열쇠가 될 것이다.
우리는 이런 현실적 문제를 보완하고 해소하기 위해서 다음 두가지 방안을 제기코자 한다.
첫째,낯선 제도에 대한 입시생과 학부모의 불안을 덜어줄 충분한 자료제공과 입시정보의 공개가 뒤따라야 한다는 점이다.
여러 차례 성격이 변질된 능력시험의 실체가 무엇인지,출제의 경향이 어떠한지,시험모델을 계속 개발하고 공개해야 할 것이다.
대학별 본고사 또한 적어도 실시 2년전에 대학마다 입시요강 원칙을 발표해서 본고사 실시 여부와 출제경향을 공개함으로써 새 제도에 따른 불안과 공포를 해소해 줘야 할 것이다.
능력시험에 대한 불안과 대학 본고사에 대한 공포가 입시생을 사로잡는 한,결코 새 제도는 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하기 보다는 비정상화를 촉발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둘재,장기적으로 대학별 본고사가 확대되기 보다는 축소되는 쪽으로 가기를 바란다. 그 이유는 본고사 실시가 결코 대학의 자율을 보장하기 보다는 막대한 예산을 필요로 하고 공정성 여부 또한 문제가 될 것이며 입시생의 부담을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현재의 중앙교육평가원을 확대·발전시켜 출제의 전문성과 평가의 엄정성을 살릴 수만 있다면 구태여 대학이 본고사를 실시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대학의 건학이념이나 계열별 특수성을 살릴 별도의 평가가 필요하다면 평가원에 의뢰하는 미국식의 토플이나 SAT(학습적성검사) ACT(미국대학시험 프로그램) 방식을 취하면 될 것이다.
요약한다면,낮선 제도에 대한 불안과 세가지 형태의 시험가중이라는 공포감을 입시생과 학부모로부터 제거하고 해소하는 것이 새 제도의 정착여부를 가름하는 갈림길이 될 것이다.
교육부와 대학당국은 이러한 불안과 공포감을 어떻게 하면 해소하고 새 제도의 원칙과 목표가 현실적으로 살아나느냐에 중지를 모아 대처하기를 당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