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대학의 자연계 '수리·탐구'에 가산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 수능 반영 비율 따져라=먼저 수능 총점을 기준으로 어떤 영역 활용이 유리한지, 표준점수와 백분위 중 어떤 지표가 유리한지를 살핀다.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은 탐구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표준점수를 이용한다. 탐구영역은 대학이 자체적으로 환산점수를 만들어 쓴다. 이화여대.숙명여대는 백분위를 반영한다.

유웨이중앙교육의 이만기 이사는 "이번 수능은 중상위권에 학생이 몰릴 가능성이 커 표준점수에 비해 백분위의 점수 차가 클 것"이라며 "백분위 점수가 높다고 지나치게 소신 지원을 하면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또 올해부터는 학생이 직접 수능영역을 선택해 지원하는 중하위권 대학이 많아지면서 어떤 영역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합격 여부가 갈릴 수 있다. 올해도 역시 인문계와 자연계를 통틀어 수리와 탐구영역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수험생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고려대 등의 자연계에 응시할 학생은 수리 '가'형과 과학탐구 점수가 있어야 한다. 나머지 대부분 대학의 자연계에서는 수리 '가'형과 과학탐구에 가산점을 준다.

◆ 학생부 반영 비율 확인=이번 정시모집에서도 학생부의 실질 반영률은 높지 않을 전망이다. 평어를 반영하는 고려대.연세대.서강대.이화여대는 평점이 평균 '우' 이상이면 만점이다. 그러나 석차백분율을 활용한다면 사정이 다르다.

<크게 보기>

이원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