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 외국인 시대] 외국인 노동자 언제부터 들어왔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국에 외국인 노동자가 몰려들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이 계기다.

한국의 경제성장이 알려지면서 동남아시아에서 관광비자로 입국한 뒤 국내 공장에 불법 취업하는 사례가 증가했다.

87년 노동운동의 격화에 따른 임금 상승과 수출 경기 호조에 따른 인력난도 외국인 불법 취업을 부채질했다.

중국 동포의 한국행은 90년대 초부터다. 92년 중국과 정식 수교할 무렵 친지 방문 형식으로 들어왔다. 서울시청.서울역 인근에서 한약재를 팔던 그들은 점차 주택 2백만호 건설 현장으로 유입됐다.

소득 1만달러 시대의 '3D 업종 기피 현상'은 공단지역 외국인 노동자 유입을 가속화했다. 정부는 91년 11월 산업연수생 제도를 도입했고, 94년 중소기업으로 확대하면서 외국인 노동자 러시가 본격화됐다.

서울 구로지역 수출공단 인근인 가리봉동에는 조선족 타운이, 성남.안산에는 동남아지역 외국인 타운이 형성됐다. 언어가 통하는 중국 동포들은 식당.가정부 등 서비스 산업으로 영역을 넓혀나갔다.

산업연수생이 늘면서 이들이 정식 '근로자'가 아닌 점을 악용한 사업주들의 폭행과 임금 착취가 사회 문제가 됐다.

95년 1월에는 네팔인 산업기술 연수생들이 명동성당에서 농성하면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같은 해 외국인 노동자 대책위가 결성됐고, 본격 권리 찾기 운동이 점화됐다.

그 결과 2003년 7월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다. 내년 8월부터는 본격 고용허가제가 실시된다.

외국인 노동자의 집.중국 동포의 집 대표 김해성(42)목사는 "외국인 노동자는 이미 10년 전부터 이웃이자 사회 구성원으로, 이제는 이들과 공존공영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철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