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영 부커상 불발…독일 예니 에르펜벡 '카이로스' 수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올해 영국 부커상 국제 부문은 예니 에르펜벡의 장편소설『카이로스』에 돌아갔다.

장편 카이로스를 쓴 독일 작가 예니 에르펜베크(오른쪽)가 21일(현지시간) 밤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인터내셔널 부커상 시상식에서 번역가 미카엘 호프만과 함께 무대에 올라 수상 소감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편 카이로스를 쓴 독일 작가 예니 에르펜베크(오른쪽)가 21일(현지시간) 밤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인터내셔널 부커상 시상식에서 번역가 미카엘 호프만과 함께 무대에 올라 수상 소감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영국 부커상 심사위원회는 21일(현지시간)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시상식을 열고 올해 국제 부커상 수상작으로 독일 작가 예니 에르펜벡의『카이로스』를 호명했다. 『카이로스』는 1980년대 말 베를린 장벽 붕괴 직전의 시대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두 남녀의 이야기다.

『카이로스』의 영역자인 마이클 호프만 번역가도 상을 받았다. 국제 부커상은 영어로 번역된 비영어 문학작품에 주는 상으로 작가와 번역가에게 상을 준다. 5만 파운드(약 8656만원)의 상금도 작가와 번역가가 똑같이 나눠 갖는다. 노벨문학상, 프랑스 공쿠르상 등과 함께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는 문학상이다.

최종후보 6편에 포함돼 기대를 모았던 황석영의 장편 『철도원 삼대』는 수상하지 못했다. 황석영은 2019년에도 장편 『해 질 무렵』으로 국제 부커상 1차 후보에 올랐다.

황석영(왼쪽)이 21일(현지시간) 밤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인터내셔널 부커상 시상식에서 김소라(소라 김 러셀) 번역가, 배영재 번역가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석영(왼쪽)이 21일(현지시간) 밤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인터내셔널 부커상 시상식에서 김소라(소라 김 러셀) 번역가, 배영재 번역가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종 수상은 불발됐지만 한국문학은 최근 3년 연속으로 국제 부커상 최종후보작을 냈다. 2022년 정보라 소설집 『저주토끼』에 이어 지난해엔 천명관의 장편 『고래』가 최종 후보가 됐다. 한국 작가 중 국제 부커상을 수상한 것은 한강(2016·『채식주의자』)이 유일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