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대출 작년 급증…일부사 위험 커졌다” 은행, 잇따라 보고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은행 보고서

은행 보고서

기업대출이 급격히 늘면서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졌던 대기업 대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1일 KB·신한·우리금융그룹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2023년 사업보고서(Form 20-F)’에서 지난해 이들 금융그룹의 대기업 관련 신용 익스포저(대출이나 신용 보증 등으로 위험에 노출된 금액)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Form 20-F’는 미국 주식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기업들이 SEC에 제출하는 연례 사업보고서로 투자자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반드시 기재하게 돼 있다. 국내에서는 공개하지 않는다. 5대 금융그룹 중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하나금융그룹과 NH농협금융지주는 해당 보고서를 발간하지 않았다.

이들 금융그룹은 해당 보고서에서 최근 소수의 대기업에 금융사 대출이나 보증이 많이 쏠리는 점을 특히 위험 요인으로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KB금융의 37개 주채무계열(빚이 많아 관리가 필요해 금융당국이 지정한 대기업 그룹)에 속한 대기업 집단에 대한 총 익스포저는 46조3260억원에 달했다. 이는 2022년(39조5350억원)과 비교해 17.1% 증가한 금액으로 KB금융이 가진 전체 익스포저에 약 7%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이 보고서에서 밝힌 신한은행의 상위 10대 기업 익스포저도 28조9400억→30조5210억원으로 늘면서 은행 전체 익스포저의 약 8.8%까지 올라갔다. 해당 시기 우리금융도 40대 대기업에 대한 총 익스포저 규모가 21조6220억→25조9180억원 증가해 전체 익스포저에 4.4%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KB금융은 “‘재벌’이라 불리는 대기업의 실적 악화는 당사의 익스포저에 포함된 중소기업의 유동성과 재무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