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인도 방문 누가 먼저 요청' 논란에 "자료 확인해보겠다"

중앙일보

입력

정부서울청사 외교부. 뉴스1

정부서울청사 외교부. 뉴스1

외교부가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의 2018년 인도 방문 측은 인도 측이 먼저 초청해 이뤄졌다는 문 전 대통령 회고록 내용과 관련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료를) 확인해 볼 것”이라고 21일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인도 측 요청이 먼저인지, 우리 측 검토가 먼저인지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모든 자료를 확인해 보진 못했다”며 “4년 전의 일이고 당시 담당자들도 바뀌어서 시간이 걸린다”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전날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은 한국 측이 먼저 검토했으며, 이에 따라 인도 정부가 초청장을 보냈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이는 보기에 따라선 문 전 대통령 회고록과는 다소 엇갈린 내용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당국자는 이같은 전날 입장 표명에 대해 “당시 외교부가 접수했던 초청장 등 남아 있는 문서를 통해 확인한 내용을 토대로 외교부 입장을 설명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는 김 여사의 인도 방문 성사 과정을 명확히 하려면 아직 확인되지 않은 문서들까지 시간을 갖고 더 살펴봐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 당국자는 또 문 전 대통령의 인도 방문 기간에 정상 간 나눈 대화에서 김 여사의 방인 이야기가 오갔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떤 계기에 어떤 얘기가 오갔는지 내용까지는 다 확인은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이 최초의 영부인 ‘단독 외교’라는 회고록의 표현에 대한 평가를 묻자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다만 ‘김 여사의 인도 방문 때 문화체육관광부 예산을 지출한 게 영부인 순방 전례가 없어서인가’라는 질문에 “어느 정치인께서도 역대 대통령 영부인 중 이희호 여사께서 유엔총회 기조연설자로 참석했다고 언급했다”고 소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