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다시 웃었다…영업익 전년비 245%↑, “가격 역주행 효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마트가 먹거리와 생필품 60종을 초저가로 제공하는 '가격 역주행' 할인 행사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이마트가 먹거리와 생필품 60종을 초저가로 제공하는 '가격 역주행' 할인 행사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이마트가 다시 웃었다. 지난해 첫 연간 적자를 낸 이후 창사 이래 처음 희망퇴직을 실시했던 이마트는 올해 1분기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성적을 냈다.

16일 이마트는 지난 1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7조2067억원, 영업이익 47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 245% 증가한 수치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영업이익 시장 전망치는 이보다 적은 226억원이었다.

할인점 별도 기준으로도 지난해보다 개선된 매출 4조2030억원(2.3% ↑), 영업이익 932억원(44.9%↑)의 실적을 발표했다. 이마트는 가격 경쟁력 강화로 고객 수를 늘린 것을 실적 개선의 주 요인으로 꼽았다.

이마트 관계자는 “직소싱과 대량 매입, 제조업체와 협업 등 유통 노하우를 총 동원해 50여 개 상품을 최저가 수준으로 선보였다”며 “점포 리뉴얼도 고객 유인과 체류 시간 증대에 영향을 미쳐 고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2.7% 늘었다”고 말했다.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을 늘리는 데는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가 효자 노릇을 했다. 고물가가 장기화하자 단위당 가격이 저렴한 대용량 상품을 찾는 발길이 이어지면서 트레이더스 고객 수는 전년보다 7.5% 늘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74억원에서 올 1분기 306억원으로 313.5% 증가했다. 노브랜드 등 전문점 영업이익은 108억원으로 역시 지난해 동기 대비 42.1% 늘었다. 전문점 매출은 2535억원으로 7.2% 감소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스타벅스(SCK컴퍼니), 스타필드를 운영하는 신세계프라퍼티, 조선호텔앤리조트 등 자회사 3곳의 영업이익도 각각 327억원(60% ↑), 122억원(320.6% ↑), 54억원(35% ↑)을 기록하며 수익성을 개선했다. SCK컴퍼니 호실적 배경으로는 신규 출점 효과와 폐기 감축 등 원가 개선 노력이 꼽힌다.

SSG닷컴(쓱닷컴)과 G마켓(지마켓) 등 온라인 자회사들은 수익성 중심의 상품 강화, 물류비 효율화 등으로 적자 폭을 줄였다. 영업손실은 각각 139억원, 85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손실을 10.9%, 22%씩 줄였다. 반면, 편의점 이마트24의 영업손실은 131억원으로 236% 늘었다. 회사 측은 물류 인프라와 시스템 개선 투자 등으로 손실이 커졌지만 최근 시너지 효과가 나고 있는 오프라인 기능 통합을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마트·슈퍼·편의점 등 오프라인 3사 기능 통합의 시너지가 본격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소싱 노하우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점포의 가격 경쟁력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