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권석천의 컷 cut

스스로의 감을 믿되 의심하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권석천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권석천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감(感) 잡았어?” “진짜 느낌이 와?”

예감, 직감, 육감, 호감, 반감, 거부감, 불안감…. 우린 감과 감 사이를 오가며 산다. 감 없이는 한 발자국도 움직일 수 없다. 모든 정보와 자료를 모으고 합리적으로 분석한 다음에 움직이면 타이밍을 놓쳐버리기 때문이다.

드라마 ‘살인자ㅇ난감’(넷플릭스)에는 이탕(최우식)과 송촌(이희준)이란, 두 명의 살인자가 등장한다. 평범한 청년이었던 이탕은 적중률 100%의 감으로 흉악범을 응징한다. 연쇄살인범이거나, 보험살인범이거나, 여학생을 성폭행해 자살로 몰고 간 자들이다. 반면 송촌은 주먹구구로 ‘나쁜 놈’을 골라낸다. 그래서일까. 그는 늘 범행에 앞서 반성문을 쓰라고 강요한다.

컷 cut

컷 cut

송촌이 이탕을 만났을 때 궁금해한 것도 ‘(대상자를 고를 때) 확신이 있는지’다. “너는 나랑 다르냐? 다르다고 생각해? 확신이 있어?” 두 사람을 추적하는 형사 장난감(손석구)에게도 감은 중요하다. 그는 후배 형사에게 연신 “증거 있어?”를 묻지만 실제론 감에 따라 움직일 때가 많다. 이탕의 정체를 알아차린 것도 그의 감이다.

이 드라마에서 ‘살인’이란 키워드를 빼고 생각해보자. 보통의 우리는 이탕과 송촌 중 어느 쪽에 가까울까? 답은 송촌이다. 어떤 사람과 처음 만나면 감이 온다. 그런데 그 감이 엉터리일 때가 많다. 호감이 갔는데 영 아닌 경우도 있고, 거부감이 들었는데 의외로 괜찮은 사람인 경우도 있다.

스마트폰에 AI(인공지능)까지 등장한 시대에도 우린 낮은 성능의 감으로 현실을 살아간다. 어쩔 수 없이 감에 따를 수밖에 없지만 너무 의지해서도 안 된다. 끊임없이 의심해야 한다. ‘감이 사람을 잡는다’는 걸 잊지 말고, 혹시 편견은 아닌지, 기분 탓은 아닌지, 그릇된 정보 때문은 아닌지 따져봐야 한다. 그렇게 감을 벼리지 않는다면 우린 둔감한 사람, 난감한 사람이 되고 만다.

권석천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