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병기 ‘필향만리’

敬鬼神而遠之(경귀신이원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한자문화권 전통문화에서 귀신(鬼神)은 대개 ‘귀(鬼)’와 ‘신(神)’으로 나누어 본다. ‘귀’는 주로 생명체가 죽은 후의 현상을 설명할 때 쓰는 말이고, ‘신’은 하늘에 본래 존재하거나 사람이 오랜 수련을 거쳐 도달할 수 있는 신이(神異)한 능력의 상태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제자 계로(季路)가 귀신 섬기기와 죽음에 대해 묻자, 공자는 “사람 섬기기를 못한다면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는가? 삶을 모른다면 어찌 죽음을 알겠는가?”(『논어』 「선진」 제11장)라고 답했다. 공자는 ‘지혜로움’에 대해 묻는 제자 번지(樊遲)에 대해서도 “사람의 도리를 힘써 지키고, 귀신을 공경하면서도 멀리하면 가히 지혜롭다고 할 만하다”고 답했다. 사람의 도리를 다하면 신은 응당 그에 합당한 도움을 주므로, 신의 존재를 믿어 공경하면서도 가까이 다가가 아첨하지 않는 것이 진정한 지혜라는 게 공자의 생각인 것이다.

敬: 공경할 경, 鬼: 귀신 귀, 遠: 멀리할 원. 귀신을 공경하면서도 멀리하는 것이 지혜이다. 25x66㎝.

敬: 공경할 경, 鬼: 귀신 귀, 遠: 멀리할 원. 귀신을 공경하면서도 멀리하는 것이 지혜이다. 25x66㎝.

사람 도리를 못하는 사람이 많아 사회가 어수선할수록 귀신을 앞세워 술수를 부리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그런 술수꾼들이 유명세를 타는 경우도 종종 있다. “지혜로운 사람은 귀신을 공경하면서도 멀리 한다”고 한 공자의 말을 새겨들음으로써 사이비 술수에 속지 않아야 할 것이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