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조원경의 돈의 세계

현대차의 러시아 철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조원경 UNIST 교수·글로벌 산학협력센터장

조원경 UNIST 교수·글로벌 산학협력센터장

글로벌 주요 자동차 회사의 러시아 대탈출 행렬이 이어졌다. 단돈 ‘2루블(약 40원)’. 프랑스 자동차 회사 르노가 지난해 5월 러시아 내 자회사를 러시아 정부에 매각한 가격이다. 르노는 러시아 시장 의존도가 높았다. 2014년 러시아 국영 자동차 업체인 아브토바즈를 인수한 뒤 러시아 시장에 집중했기에 상실감이 컸다. 이자 및 세금 비용을 제외하기 전 이익(EBITA) 기준 약 8%가 러시아에서 나왔으니 그럴 만도 하다.

일본 자동차 기업 닛산도 항복했다. 지난해 10월 닛산은 러시아 국영자동차개발연구소(NAMI)에 러시아 법인과 생산시설을 팔았다. 단돈 1유로(1400원)로 르노보다 조금 비싼 가격이다.

돈의 세계

돈의 세계

푼돈이고 상징적인 가격인데 의미가 있을까? 이달 현대차가 러시아 시장에서 판매 부진을 겪은 후 철수를 단행했다. 현지 수출은 물론 공장까지 멈춰 세운 지 상당 시간이 흐른 후에 선택한 고육지책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 2공장 양산을 목전에 둔 상태라 안타까움이 컸다. 매각금액은 1만 루블(약 14만 5400원)로 르노나 닛산에 비해 많다. 현대차는 르노, 닛산처럼 매각 후 2년 내 되사올 수 있는 단서(바이백 옵션)를 달았다. 러-우 전쟁이 끝나면 러시아에 재진출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러시아의 자동차 시장 규모는 상당하다. 150만 대 승용차가 팔리고 상용 트럭과 버스를 포함하면 180만 대 수준이다.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가 사실상 철수한 상황에서 정치 제재가 가져온 경제적 반사 효과를 직시해 본다. 이들 업체가 철수한 자리를 중국 자동차 브랜드가 러시아 자본과 결탁해 장악한 게 현실이다. 2022년 중국 자동차업체의 러시아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한 후에 고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러-우 전쟁 장기화가 중국 기업의 경쟁력만 키워줬다. 한 해가 저무는 시점에서 서글프기 짝이 없다. 입술의 터지는 쓴웃음은 정치경제학의 씁쓸함이겠다.

조원경 UNIST 교수·글로벌 산학협력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