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병기 ‘필향만리’

好學(호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일찍이 “열 가구 안팎의 작은 마을에도 나만큼 충성과 신의를 갖춘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처럼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공자가 지나친 자부심으로 자기 자랑을 한 것처럼 들리지만, 실은 타인을 ‘면려(勉勵, 애써 노력하게 함)’하기 위해 한 말이다. 비록 충(忠)과 신(信)의 성품을 타고났다고 하더라도 배움이 모자라면 그런 충성과 신의는 퇴색하거나 변질하고 만다. 이에, 공자는 끊임없이 배우는 노력을 해야만 시골사람에 머무르지 않고 성인의 경지까지 나아갈 수 있음을 면려하기 위해 배우기를 좋아한 자신의 생활 태도를 강조하여 말한 것이다.

好: 좋아할 호, 學: 배울 학. 배우기를 좋아하다. 32x71㎝.

好: 좋아할 호, 學: 배울 학. 배우기를 좋아하다. 32x71㎝.

공자는 “종일 밥도 안 먹고, 밤새 잠도 안 자며 사색해 봐도 얻는 게 없으니 배우는 것만 못하다(終日不食, 終夜不寢, 以思, 無益, 不如學也 『논어』 위령공편)”라고도 했다. 역시 배움을 강조한 말이다. 배운 정도에 따라 사색과 창의력의 수준이 달라진다. 배우지 않은 ‘빈 머리’의 사색은 창의력으로 이어지지 않고, ‘검색’을 통해 임시로 채운 ‘풋머리’로는 양질의 창의력을 발휘할 수 없다. 즐겨 배워 ‘익힌 머리’라야 훌륭한 인품도 발현되고 뛰어난 창의력도 샘솟는다. 공자의 ‘好學’ 정신을 받들어야 할 이유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