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조원경의 돈의 세계

오픈AI의 5일 해프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조원경 UNIST 교수·글로벌 산학협력센터장

조원경 UNIST 교수·글로벌 산학협력센터장

영국 콜린스 사전이 AI(인공지능)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AI 용어 사용 빈도가 전년 대비 올해 4배 이상 증가했다는 이유에서다. AI가 이토록 뜨겁게 된 것은 작년 11월 오픈AI가 챗GPT를 출시하고 나서다. 미국 나스닥도 챗GPT 관련 반도체주인 엔비디아가 달궜다.

지난주 쫓겨났다 닷새 만에 돌아온 오픈AI의 창업자 샘 올트먼 이야기가 화제였다. 관련 기사가 10만 건에 이른다. 그를 축출한 이사회 멤버 중 단 한 명만이 남고, 사내 갈등을 가라앉히려는 듯 나머지는 내침을 당했다. 스티브 잡스는 내쫓긴 지 12년 만에 애플로 돌아왔다. 단 5일은 새로운 AI 생태계를 이끄는 올트먼의 힘을 확실히 느끼게 한다.

돈의 세계

돈의 세계

AI가 인류에 공헌해야 한다며 2015년 비영리재단으로 설립한 오픈AI의 비전이 이제 이윤 행위 때문에 짐이 된 것일까? 비영리재단의 사회적 가치와 자본주의의 숙명인 영리 행위는 조화되기 어려울 수도 있겠다. 올트먼은 그런 갈등 속에서도 직원들의 환호를 등에 입고 거대 언어모델 AI 레이스의 큰 축을 확실히 이끌 전망이다.

아무튼 이 사건은 AI의 미래가 통제 가능한지를 인류에 숙제로 남겼다. 이세돌과 바둑을 두어 이긴 알파고 같은 AI는 한 분야만 잘했다.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범용 AI 시대가 곧 도래할 수 있다는 인식이 아직은 설(說)이라고는 하지만 우리를 두렵게 한다.

고(故) 스티븐 호킹 박사는 인간을 뛰어넘는 지능의 AI가 스스로를 개량해 비상할 수 있다고 했다. 인간은 경쟁 상대가 안 돼 AI에 결국 대체될 거란 무서운 말을 남겼다. 범용 AI의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가열되고 AI의 위험을 통제할 규칙 마련에 속도전이 붙을 것 같다.

올트먼도 미 상원 청문회에서 AI 통제 필요성을 강조했다. 독립된 감독기구의 설치를 제안했다. 인류를 위협할 AI 기술이 터미네이터 영화 속 얘기라고 하면 그건 시대착오적 망상에 불과하다.

조원경 UNIST 교수·글로벌 산학협력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