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병기 ‘필향만리’

不知其仁也(부지기인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어질다’는 평판은 단순히 한두 가지를 잘한다고 해서 들을 수 있는 게 아니다. 게다가 “어진 사람만이 다른 사람을 좋아할 수도 미워할 수도 있다”고 하였으니(『논어』 이인편) 어진 사람임을 자부하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다른 사람의 어짊과 어질지 못함을 함부로 평할 수 없다. 그래서 공자도 제자 유(由:자로)와 구(求:염유)와 적(赤:공서화)이 어진 사람인지를 묻는 어떤 이의 질문에 대해 그들이 군정(軍政)을 맡아 처리한다거나, 고을 수령의 업무, 조정의 손님 접대 등은 잘할 수 있을 테지만 그들이 어진 인물인지는 잘 모르겠다는 답을 했다.

知: 알 지, 其: 그 기. 글쎄, 그가 어 진지는 모르겠구나. 23x65㎝.

知: 알 지, 其: 그 기. 글쎄, 그가 어 진지는 모르겠구나. 23x65㎝.

사실 ‘어짊’은 고사하고 시비(是非)를 평가하는 일도 쉽지 않다. 솔로몬의 지혜가 아닌 바에야 누가 누구를 품평하겠는가. 중국 청나라 말기의 사상가 강유위(康有爲)는 “단견화개락, 불언인시비(但見花開落, 不言人是非)” 즉 “단지 꽃이 피고 지는 것이나 바라볼 뿐, 사람들의 시비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으려네”라는 주련을 써 걸고서 남에 대한 품평을 삼가며 저술에 몰두했다고 한다.

요즈음 우리 사회는 뒷담화는 물론, 공개적 비판과 매도가 횡행하고 있다. 사람에 대한 평가는 공자도 “잘 모르겠다”고 답했음을 상기하며 남보다 자신을 먼저 돌아볼 일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