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겨울의 행복한 북카페

삶들의 죽음에 물어야 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김겨울 작가·북 유튜버

김겨울 작가·북 유튜버

개천절이 지난 후 다시 휴일을 만나기 위해 12월까지 기다려야 하는 지루한 날들을 보내다 보면 핼러윈이 있다. 핼러윈은 친언니가 태어난 경사스러운 날이므로 나는 그것을 약간의 흥겨움으로 여기고 기꺼운 마음으로 맥주 몇 잔을 마시곤 한다. 그러나 이제 그런 흥겨운 마음으로 10월을 맞이할 수 없다. 10월 중순이 되면, 언니에게 줄 생일선물 고민을 하기 시작하면, 언니가 태어남을 축하할 주말에 수많은 사람이 죽었다는 생각을 멈출 수 없을 것이다. 그들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해 죽었다는 바로 그 사실이 탄생이라는 생기 주변을 배회할 것이다. 그 죽어간 이들에게도 생일이 있었으므로.

행복한 북카페

행복한 북카페

그들에게 생일이 있었고, 고유한 삶이 있었다.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2023)에서 이태원 참사 생존자와 유가족들이 전하는 이야기는 하나같이 생생하다. 근처에서 생일 축하를 하고 호기심에, 웨딩 촬영 다음 날 친구들과 같이 시간을 보내러, 코로나가 끝났으니 작정하고 놀러, 가족이 오랜만에 다 같이 바람을 쐬러…. 그런 삶들을 지키지 못했음에, 그러고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음에 경악하는 것은 책임자가 아닌 사람들뿐이다.

책에서 유가족 진세빈씨는 말한다. “저는 이 사람들[책임자들]이 참 오래오래 사셨으면 좋겠어요. 오랫동안 그 수백 명의 청년들 무게를 느끼면서 사셨으면 좋겠어요. 어떻게든 본인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느꼈으면 좋겠어요.” 책임자들이 이 서늘한 분노를 알고는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

같은 책에서 유가족 김혜인씨는 말한다. “이태원이 아닌 다른 어느 곳에서도 일어났을 수 있는 일이었어요. 이태원에 간 사람들의 잘못이 아닌, 해야 할 일을 안 한 사람들 때문에 일어난 참사죠. 그래서 사람들이 이태원 참사를 이렇게 기억해줬으면 좋겠어요. ‘왜 갔느냐’가 아닌 ‘왜 못 돌아왔는지’를 말이에요.” 그렇게 물을 때 온전한 애도는 가능할 것이다.

김겨울 작가·북 유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