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는 K-농업전도사] [기고] 청년창업 활성화 통해 농촌의 미래 경쟁력 키우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조재호 농촌진흥청장

조재호 농촌진흥청장

“농업을 농사가 아닌 창업으로 접근한다면 할 수 있는 일은 10배가 많아지고 기회도 100배가 많아질 것이다.” 농촌진흥청이 주최한 청년농산업 창업 아이디어 경진대회 수상자가 펴낸 책에 실린 글이다.

최근 귀농·귀촌하는 청년들을 보면 살아온 여정은 다를지언정 뚜렷한 공통점이 있다. 남이 이끄는 대로 따르는 인생이 아닌, 스스로 삶의 방향을 결정하고 결단을 내려 농업을 선택하고 농촌에 정착한다는 점이다. 특히 농업·농촌의 미래를 내다보고 자신이 가진 능력을 과감히 투자하는 혜안은 부러울 정도다. 농업을 단순히 농사짓는 차원을 넘어 무궁무진한 창업의 공간으로 여기고 자신의 꿈을 착실히 키워가는 의지가 무척이나 돋보인다.

‘2022년 귀농 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이러한 신호를 확연히 감지할 수 있다. 30대 이하 청년층에서 귀농을 선택한 이유로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높다. 최근 5년간의 조사 결과에서도 같은 이유로 농업을 선택하는 30대 이하 청년들이 많았다. 농촌 태생이지만 도시 생활 후 다시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돌아오는 U자형 귀농 현상도 눈에 띈다. 반대로 도시 태생이지만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유입되는 청년들도 조금씩 늘고 있다. 농촌을 향한 관심과 수요가 이처럼 다양해진 데에는 여러 사회·경제적 요인이 있겠지만, 창업농 육성 정책도 한몫을 하고 있다.

정부는 청년농업인 3만 명 육성을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지자체와 농협, 한국농어촌공사 등과 함께 기관의 특성을 살린 사업을 발굴, 추진해 청년들의 농업·농촌 유입과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창업 자금 지원, 기술·경영 교육과 컨설팅, 농지 임대 및 농지 매매를 연계하는 지원정책 등을 통해 젊고 유능한 인재가 농업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길을 넓히고, 농촌의 인력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영농 초기 단계 불안정한 소득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도록 정착금 지원정책을 펼쳐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농촌에 터를 닦은 청년들의 기술적 성장을 뒷받침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들이 전문적인 농업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준비기, 정착 초기, 성장기 등 단계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현장 컨설팅에도 힘을 쏟고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성과 및 국유특허를 활용해 농업·농산업 분야 새싹기업이 자생력을 길러 산업화 기반을 닦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 밖에도 품목별 청년농업인 모임체를 지자체 단위로 확산하고, 각 지역 4-H 청년농업인들의 활발한 소통과 교류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우리 농업·농촌은 식량안보와 환경 보전이라는 본질적, 공익적 가치에 더해 청년의 꿈을 실현하는 일터, 삶터로써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농업의 혁신 성장과 미래 가치에 주목하는 청년들이 농업·농촌과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명산업인 농업과 공동체의 터전인 농촌의 미래 경쟁력을 키우는 힘은 결국 창업, 창농에 뛰어드는 청년들의 꿈과 도전에 용기와 희망을 불어넣는 일에서 비롯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