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이은혜의 마음 읽기

과거를 직시하는 책 정리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나이가 많을수록 물건을 살 때 남은 삶을 헤아리며 신중을 기한다. 벌이가 쪼그라든 마당에 자연스레 줄이는 소비는 청빈한 삶도 안겨줘 일거양득이다. 책 역시 돈 주고 사는 물건인데, 소비욕이 별로 없는 나는 독서 계획도 없이 책만큼은 매일 사들인다(책을 읽기 때문에 소비욕이 덜한 것일 수도 있다. 독서에 좋은 옷 같은 건 필요 없으니). 특히 1000쪽이 넘는 과학, 철학, 역사책이 꽂힌 책장을 보면 예감한다. 죽을 때까지 저 책들을 읽을 일은 아마 없을 거라고. 그래서 최근 책 정리 방식을 바꾸기 시작했다, 좀 더 과거 지향적이고 주관적으로.

매해 읽은 책을 연도별로 모아
그때그때 생각의 계보가 보여
주제·작가별 분류보다 나은 듯

김지윤 기자

김지윤 기자

책 정리의 대전제는 분야별 분류로, 관심 주제나 작가를 찾을 때 편리하다. 문제는 이것이 너무 일반적인 방식이라 가끔 그 책장이 내 것이 아닌 듯 여겨진다는 점이다. 그 생소함은 책 광고와 서평을 보고 충동적으로 구입해 책 샀을 당시의 나는 지금의 내가 아니라는 데서 기인하는 면도 있다. 자기 방에서 낯섦을 느끼는 것은 때로 유익하지만 때로는 기분을 해친다. 낯선 감정은 나 자신과 거리두기 하면서 젊은 시절 흘러넘쳤던 호기심과 열정을 상기시키지만, 동시에 당시 지적 욕구가 피상적인 수준에서 그쳤음을 일깨워준다. 피상성은 늘 우리를 괴롭힌다. 그것은 자기기만의 결과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나는 그 기만에서 벗어나려고 2~3년 전부터 연도별 정리를 하고 있다.

이 방법은 앞으로 읽을 책들을 위한 열망과 충동을 조금 가라앉히고, 지난날들을 되새기게 한다. 내 책장 일부는 2021년, 2022년, 2023년에 읽은 책들이 한 줄씩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분야도 주제도 제각각인 그 책들은 나름의 이야기 망을 구성한다. 단지 같은 연도에 읽혔다는 이유로 한 칸에 놓였지만,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거나 지층 속으로 깊이 내려간 고유한 질문과 사유의 계보를 드러내 준다. 내 생각에 이것은 시간을 저장하는 좋은 방법인데, 과거의 시간은 얼마나 맥락화하는가에 따라 더 잘 기억되기 때문이다.

전년도의 축적은 이듬해의 반박과 도약의 좋은 토대가 되어준다. 지난해 나는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를 읽으면서 글의 구조가 갖는 중요성을 실감했다. 그 책을 읽으면 독자는 작가가 구축한 구조에 붙들려 감탄하게 되는데, 이는 글쓰기 비법을 알려주는 책들이 늘 강조하는 점으로, 조지 손더스 역시 『작가는 어떻게 읽는가』에서 체호프 글 구조의 ‘무서움’(탁월함)을 언급한다. 하지만 올해 나는 구조를 파괴하고 무정형으로 쓰인 뒤라스의 『물질적 삶』과 배수아의 『작별들 순간들』을 읽었다. 뒤라스는 “이 책엔 시작과 끝이 없고, 중간도 없다. 어느 책이든 존재 이유가 있다는 말이 맞는다면, 이 책은 책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놀라운 건 뒤라스의 의도와 달리 저자와 독자 사이에서 떠도는 시간의 공기가 독자를 북돋운다는 점이다. 즉 그 공기는 읽는 이의 마음속에 스며 안개 뭉치 같은 것을 형성하고 느낌을 강화하면서 자기만의 세계를 열도록 돕는다.

지난해 내 책꽂이의 절반은 소설로 채워졌다. 하지만 올해는 소설보다 역사와 철학책을 주로 읽고 있다. 한 분야를 집중해서 보면 그쪽 작가들의 작법이 짐작되곤 한다. 두 해쯤 SF소설에 빠졌지만, 유사하게 변주되는 디스토피아적 분위기와 상상력에서 다른 미래를 엿보기 힘들었다. 도약하는 작품이 나오길 기다리며 지금 관심사는 다시 오랜 시간 축적된 연구와 역사적 세부 사항으로 향하게 됐다. 로스 킹의 『피렌체 서점 이야기』는 등장인물과 가문 이름 하나하나가 책과 지식을 향한 욕망과 분투를 되새기게 하는, 지적 집적의 아름다운 총체성이다. 이 책은 모든 장면이 세부를 파고들도록 자극하며 풍부한 상상력을 제공한다. 또 올 한 해 동안 독파하려고 계획한 『하이데거 극장』(전 2권)은 1600여 쪽이라 부담되지만, 철학의 계보를 좇으며 인식론과 인식론 너머를 정면으로 마주하게 한다. 어떤 분야가 약간 정체된 듯 보일 때 독자가 변신을 꾀할 수 있는 대안적 출구는 늘 마련돼 있으며, 좋은 책은 꼭꼭 씹어서 앎이 삶이 되는 지점까지 나가도록 격려한다.

지나온 세월은 좁아진 혈관을 통해서도 알 수 있지만, 매해 읽어온 책들의 방향성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지금부터 남은 생이 30년이라면 나 같은 독자는 30칸 정도의 책꽂이를 간신히 채울 것이다. 30칸이면 작은 방 벽면 하나 차지하는 책장밖에 안 되니 초라하기 그지없다.

하지만 분야별 효율성과 효용성보다 자신을 직시하게 하는 방식으로 매년 책꽂이를 채우다 보면 비로소 나란 사람을 알게 된다. 그 얄팍함은 나를 전시하는 증거다. 그러면서 동시에 과거의 작위성과 짜임새에서 좀 더 자유로워져 자신을 느슨하게 만드는 면도 있는데, 그것은 나름의 열매라 할 수 있다.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