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국내 주식 1월에 가장 많이 사고 수익률은 4월 최고1분기 대형주로 매수세 몰리고 7월부터는 소형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4면

삼성증권 7년간 수익률·순매수 규모 분석 결과

[삼성증권 DA팀 분석] 월별 개인 투자자 매매 패턴현황 및 수익률

[삼성증권 DA팀 분석] 월별 개인 투자자 매매 패턴현황 및 수익률

삼성증권이 지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7년간 국내 상장 주식의 월평균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삼성증권의 분석은 1월의 주가 상승률이 다른 달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는 ‘1월 효과’와 11월부터 5월까지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6월부터 10월까지 상대적으로 부진하다는 ‘11월에 사서 5월에 팔아라’와 같은 주식 격언이 실제 시장에서 통용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진행됐다.

삼성증권에서 시장 및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애널리틱스팀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7년간 개인 투자자의 월별 코스피 순매수 규모를 분석한 결과, 1월이 6조원으로 월평균 순매수 금액(2조원)을 크게 웃돌았으며 1월~12월 중 가장 매수세가 센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익률이 가장 높은 달은 4월(3.3%)이었다. 그다음으로 11월(1.8%), 7월·12월(1.2%) 순이었다. 특히 4월은 지난 7년 중 2022년을 제외한 6년간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1월’ 수익률은 0.4%로 월평균 수익률(0.24%)을 소폭 상회하는 데 그쳤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1월은 한해를 시작하면서 투자에 대한 기대감, 거시경제 및 투자환경의 변화를 반영해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러나 실제 수익률은 기업실적 등 성과를 보여주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7년간 1월~4월 MSCI KOREA 업종별 평균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업종은 에너지(4.4%), 소재(3.2%), IT(2.4%) 순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개인 투자자들의 월별 주식 투자 패턴도 확인했다. 삼성증권이 대형주·중형주·소형주의 월별 순매수 규모를 분석한 결과, 1분기에는 대형주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며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하반기인 7월부터는 소형주 비중이 평균 70%를 차지하며 매수세를 이끌었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시장이 방향성을 잡기 전인 연초는 선취매 관점에서 시장 움직임과 연동되는 대형주에 몰리지만, 점차 주도업종이 드러나면 종목 선별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며 “2023년은 전반적인 지수 레벨업보다는 종목별로 주가 차별화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돼 투자자들의 실력이 드러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