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영화 속 주인공 성별, 남성이 61%…현실보다 높게 재현돼"

중앙일보

입력

사진 한국영화성평등센터 든든

사진 한국영화성평등센터 든든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개봉한 영화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오리지널 작품에서 주인공의 성별이 여전히 여성보다 남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영화성평등센터 든든이 발표한 '한국영화 포용성 지표 개발 및 정책방안 연구' 중간 결과에 따르면 여성과 남성의 인구통계는 각각 50.2%, 49.8%이지만 작품 속 주인공의 성별은 여성이 38.4%, 남성이 61.6%로 집계됐다. 여성은 인구통계 대비 11.8%포인트 낮게, 남성은 그만큼 높게 재현된 것이다.

연령별로는 40대 주인공 비율이 25.2%로 가장 높았다. 이는 2022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상 40대 비율 15.8%보다 9.4%포인트 높은 수치다. 60대 이상의 경우 실제로는 인구의 25.9%지만 작품 속에서는 11.2% 비율로 등장해 인구통계 대비 가장 낮은 재현율을 보였다.

성소수자 주인공은 전체 작품 속 주인공의 3%에 불과했는데 이는 성소수자가 전체 인구의 7%를 차지한다는 추정치를 고려하면 역시 낮은 비율이다.

이주민과 장애인의 경우 실제 인구통계 대비 높은 비율로 재현됐다. 실제 이주민은 총인구의 3%, 장애인은 5%지만 영화 속 주인공 비율은 이주민 4%, 장애인 9%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2017년부터 5년간 극장 개봉작 중 상업영화와 독립·예술영화 각각 흥행 상위 40%, OTT 오리지널 등 총 446편 작품을 대상으로 했다.

센터 측은 "포용성 지표는 국내 기업의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소셜 부문 가이드라인 역할, 영화 공적지원에서의 EDI(평등·다양성·포용력)역량 자문과 교육 및 포용적 다양성 정책 환경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