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무는 「민방」 의혹설/말썽많은 민방 대주주 「태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윤회장 외부권유로 시작” 파다/TKㆍ학파 지원등 온갖 풍문도
새 민방의 지배주주로 태영이 결정된 이후 선정과정을 둘러싼 의혹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부가 주주명단을 발표하기 훨씬 전부터 사전 내락설이 무성했고 심사가 시작되면서 나돌기 시작한 출처불명의 괴문서가 적중해 의혹을 키우는 소문이 새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민방주주 선정을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는 여론이 거세지자 공보처는 당초 『탈락기업에 피해를 주지 않기위해 구체적인 심사내용을 밝힐 수 없다』던 입장을 바꿔 언론관계자들에게 조심스럽게 선정경위를 해명하고 있다.
1차 심사에서는 전체 60건 70개 기업에 대한 적격여부를 가르는 작업을 벌여 적격(○) 20명,보류(△) 16명,부적격(×) 34명으로 나누었다.
적격판정이 적어 「고의성 없는 세금추징사례」등에 해당하는 기업은 「보류」로 분류,일단 1차시기를 통과시켰다.
주주수를 30명선으로 잡고 심사를 시작했기 때문에 「적격」과 「보류」 36명을 대상으로 2차심사에 들어갔다. 이중 인켈과 공동출자한 5개 기업은 『지배주주가 아니라면 함께 빠지겠다』며 포기,결국 나머지 31개기업이 모두 주주로 참여하게 됐다.
가장 관심을 끈 지배주주는 신청자 9개사 가운데 기독교 방송등 6개사는 1차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았고 태영과 일진은 「적격」,인켈은 「보류」 판정을 받았다. 인켈이 보류된 것은 지난 87년 세금추징 사실 때문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진의 경우 3개 계열기업과 허진규 회장이 공동출자 형식으로 참가해 지배주주로서 안정성이 없다고 판단,일단 보류시켰던 인켈을 「적격」으로 올려 태영과 경쟁시키기로 했다는 것인데 바로 이런 점이 처음부터 태영을 정해놓고 나머지를 들러리로 사용하지 않았느냐는 의혹의 근거가 되고 있다.
최병렬 장관은 1차심사가 끝난 31일 오전 9시30분부터 3개사 사주들을 불러 코리아나호텔에서 면접심사를 했다.
이때 태영은 여의도 사옥을 방송국으로 개조할 기술검사 자료등을 제출한 반면,일진은 전혀 사옥확보 계획이 없었고 인켈은 KBS 별관을 사거나 공동출자한 한국화장품의 능동체육관을 개조해 사용하겠다고 제시했다.
인켈은 KBS 별관을 1천5백억원으로 산정,7년 분할상환 하겠다고 했으나 KBS는 매각의사가 없을 뿐더러 부동산 업자들이 시가를 3천억정도로 보고 있어 최초 납입자본금이 1천억원임을 고려할 때 무리라고 판단했으며 능동 체육관은 남산 송신소와 위치로 보아 부적격해 방송계획에 차질을 빚겠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것이 공보처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 태영은 『기존 건설업체는 전문경영인에게 맡기고 방송경영에 전념하겠다』고 밝힌 반면 인켈은 고급기술 업체로 매년 1백50개 모델을 새로 개발하고 해외 현지법인이 6개나 되는등 사업내용이 복잡하고 75세의 최동식 회장이 경영을 진두지휘하고 있어 방송경영이 소홀해질 우려가 있다는 점이 감안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공보처의 이같은 해명에도 불구,최초의 의혹설은 모 일간지 편집국장 출신인 윤위영 전문공부장관이 민방을 하겠다며 태영,인켈 등을 찾아다녀 배후에 그 모 일간지가 있다는 의문을 촉발한 데서 비롯됐다.
또 한가지는 윤세영 회장이 가까운 사람들에게 『나같은 막일꾼에게 방송국을 하라고 한다』고 말했다는 등의 소문이 있어 윤회장이 마치 누구의 권유를 받고 움직이는 듯한 풍설이 파다했다. 도대체 건설업 순위 34위의 무명기업인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알려진 민방을 덥썩 따내는 것이 우리 사회통념상 가능이나 할법하냐는 얘기였다. 더욱이 언론과는 아무 인연이 없고 돈을 번 과정이 베일에 싸인 사람에게 그럴 수 있느냐는 것이었다.
또 일부에서는 선정기준이 늦게 발표된 점을 들어 『미리 내정하고 나머지를 들러리 세운 것이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는데 공보처는 『이 때문에 문제가 생긴 중소기업중앙회와 기독교방송엔 신청전부터 수차례 공개적으로 부적격이란 얘길 해주었다』고 해명했다.
최병렬 장관ㆍ강용식 차관과 윤세영씨간의 학연에 의한 밀착설과 함께 소문은 TKㆍ청와대의 지원,사전 결정설로 번져가고 있다.
6공 최대의 이권이 될 수 있는 민방주주를 청와대 내락없이 단두번의 회의로 결정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 그 근거다.
윤회장은 문경출신 국회의원이었던 이동녕씨의 비서관을 지냈고,처남인 변탁 사장이 박철언 의원의 월계수 회원이라는 소문까지 겹쳐 박의원의 도움을 받았을 것이란 추측도 나돌았다.
이같은 밑도 끝도 없는 의혹설은 확인할 겨를이 없을 정도로 꼬리를 물고 있다.
이 때문에 야당도 백지화를 요구하는등 국회가 정상화되면 정치쟁점으로까지 비화될 조짐이다.<김진국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